[사이테크+] "향유고래, 인간 언어와 유사한 복잡한 신호로 의사소통"

이주영 2024. 5. 8. 09: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개체들 사이에 의사소통 방식이 아주 단순한 것으로 알려진 향유고래(Physeter macrocephalus)가 다양한 클릭 음(딸깍하는 소리)과 리듬을 결합하고 변조해 인간의 언어와 유사한 복잡한 신호를 만들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향유고래가 다양한 클릭 소리와 리듬을 만들고 이를 조합, 변조할 수 있다며 이를 활용한 의사소통 체계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복잡하고 정보전달 능력도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 연구팀 "향유고래 의사소통 시스템, 복잡하고 정보전달력 뛰어나"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개체들 사이에 의사소통 방식이 아주 단순한 것으로 알려진 향유고래(Physeter macrocephalus)가 다양한 클릭 음(딸깍하는 소리)과 리듬을 결합하고 변조해 인간의 언어와 유사한 복잡한 신호를 만들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향유고래 향유고래는 지구상에 존재한 동물 중 뇌가 가장 큰 동물이다. 향유고래가 복잡한 협동 행동을 할 수 있으면서도 의사소통 체계는 매우 단순해 보인다는 점은 연구자들에게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Amanda Cotton and Project CETI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및 국제 향유고래 언어 연구단체인 프로젝트 CETI(Cetacean Translation Initiative)의 제이컵 앤드리아 교수팀은 8일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카리브해에 서식하는 향유고래 60여 마리의 소리를 분석, 대화 맥락에 따라 달라지는 클릭 음의 조합과 구조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향유고래가 다양한 클릭 소리와 리듬을 만들고 이를 조합, 변조할 수 있다며 이를 활용한 의사소통 체계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복잡하고 정보전달 능력도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사회적 동물에게 의사소통은 집단 결정을 내리고 먹이 사냥이나 새끼 양육 같은 공동 작업을 조율하는 데 중요하다. 이빨고래류 중 몸집이 가장 큰 향유고래는 일련의 클릭 음으로 서로 의사소통하는 사교적인 포유류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향유고래는 클릭 소리 중 코다(coda : 악곡 종결부)로 불리는 부분을 통해 자기 신원을 알리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의사소통 시스템에 대해서는 밝혀진 게 거의 없다고 말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향유고래 자료가 가장 많은 도미니카 향유고래 프로젝트(Dominica Sperm Whale Project) 데이터 가운데 카리브해 동부에 서식하는 향유고래 60여 마리가 다른 개체와 사이에서 내는 소리를 녹음한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 과정에서 향유고래가 다양한 클릭 소리와 리듬을 만들고 이를 조합, 변조할 수 있으며, 클릭 소리 순서의 구조와 조합이 개체 간 대화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클릭 소리로 의사소통하는 향유고래 향유고래가 클릭 소리(파란색과 주황색 점)를 이용해 2분간 의사소통 것을 보여주는 데이터. 가로축은 클릭 음 교환 시간을, 세로축은 코다(coda : 악곡 종결부)의 첫 클릭 음부터 다음 클릭임까지의 간격을 나타낸다. [Nature Communications/Jacob Andrea et al.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반복적인 클릭 구조와 조합을 의사소통에 쓰이는 '향유고래 음성 알파벳'으로 정의하고, 이들 클릭 조합의 기능과 의미는 아직 알 수 없지만, 향유고래가 이를 활용해 수많은 의미를 표현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향유고래의 발성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표현력이 풍부하고 구조화돼 있으며, 훨씬 더 많은 구별 가능한 코다로 이루어진 레퍼토리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는 향유고래 발성이 복잡한 조합적 의사소통 시스템을 형성한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이는 조합 발성(combinatorial vocalization) 시스템이 인간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 매우 다른 생리적, 상태적, 사회적 압력 속에서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 출처 : Nature Communications, Jacob Andrea et al., 'Contextual and combinatorial structure in sperm whale vocalisations', https://www.nature.com/articles/s41467-024-47221-8, 참고영상(https://www.youtube.com/watch?v=exylddjJBZk)

scitech@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