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시간 마약 상담’ 한 달…“양지로 끌어낼 첫 단추”[인터뷰]

황병서 2024. 5. 7. 15:5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나라 문화가 마약 중독자라고 하면 어디 가서 이야기 못 할 분위기 아닌가요. 치료를 받고 사회 재기를 꿈꿔야 하는데 더 음지로 들어가 버리니 그저 안타깝죠."

박영덕 마약퇴치운동본부 중독재활센터장은 '용기 한걸음 1342 마약류 전화상담센터'(1342 센터)를 담당하며 마약 사범 등이 사회에 재기할 수 있도록 돕는 조력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영덕 마약퇴치운동본부 중독재활센터장 인터뷰
마약 중독자 비롯 가족들 전화 이어져
"`약 생각 사라졌다` 말에 뿌듯…10대들도 전화하길"
“중독자 음지서 끌어낼 계기…사회활동 재기 돕겠다”

[이데일리 황병서 기자] “우리나라 문화가 마약 중독자라고 하면 어디 가서 이야기 못 할 분위기 아닌가요. 치료를 받고 사회 재기를 꿈꿔야 하는데 더 음지로 들어가 버리니 그저 안타깝죠.”

‘용기한걸음 24시 마약류 전화상담센터’를 담당하고 있는 박영덕 마약퇴치운동본부 중독재활센터장이 3일 서울 영등포구 전화상담센터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사진=황병서 기자)
박영덕 마약퇴치운동본부 중독재활센터장은 ‘용기 한걸음 1342 마약류 전화상담센터’(1342 센터)를 담당하며 마약 사범 등이 사회에 재기할 수 있도록 돕는 조력자다. 해당 전화상담센터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연중무휴 24시간 마약류 관련 상담을 할 수 있는 곳으로 지난 3월 26일 개소해 이제 막 한 달을 넘긴 신생 조직이다. 대표 전화번호인 1342는 ‘당신의 일상(13) 24시간 사이(42) 모든 순간 함께 하겠다’는 의미가 담겨 있는데 상담직원 12명이 3교대로 근무하며 약 600건의 삼담을 진행했다.

박 센터장은 지난 3일 상담센터 개소 한 달을 맞아 진행된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나라의 묻혀 있는 많은 중독자가 마약을 열 번 하든 백 번 하든 끊고 싶어하는데 신고 당할까 봐 병원 가기를 꺼려한다”며 “마약 중독자들도 사회인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이들이 재활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도록 다양하게 네트워크를 만들어주거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이 전무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1342 센터가 생긴 후 마약 중독자들이 기댈 곳이 생겼다고 말했다. 그는 “하루에 15통꼴로 전화가 온다”면서 “병원이나 타 기관으로 연계하는 등의 도움을 줄 때는 5~10분 만에 상담이 끝나기도 하지만 마약을 끊고 싶어 하는데 불쑥 계속 생각나서 고통스러워하는 이른바 ‘갈망’ 상황에서 상담 전화가 진행되면 보통 30분에서 길게는 1시간도 걸린다”고 전했다.

이어 “중독자들이 보이는 갈망의 경우 대부분은 ‘약 생각이 난다’고 힘들다고 하는 경우”라면서 “이들이 순간의 고비를 넘길 수 있도록 이야기를 들어주고 용기를 북돋아 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곳에서 일하는 상담사들이 뿌듯해 하는 순간들도 갈망을 겪는 이들이 상담을 진행한 후 ‘고맙다’, ‘갈망이 내려갔다’고 말했을 때라고 들었다”고 말했다.

다만, 아직 10대의 상담전화가 없는 점에 대해선 아쉬움을 드러냈다. 지난해 10대 마약 사범 증가율이 평균을 웃돌며 우리 사회의 잠재적 위협이 되고 있는데, 이들을 도와줄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그는 상반된 결과에 대해서 “10대 중독자들이 전화하지 않는 이유는 이제 (막 마약을 하는) 시작 단계라서 그런 것 같다”면서 “10대들이 이제 시작을 했는데 회복해봐야, 약을 해봐야 얼마나 해봤겠느냐, 결국 옳지 못한 길을 선택한 것일 뿐”이라고 씁쓸해했다.

박 센터장은 가족들로부터의 상담 전화나 재판을 앞두고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서 전화하는 이들도 많다고 했다. 그는 “약을 한 사람보다 가족이 더 힘든 게 사실이다. 본인은 교도소 안에서 죄를 짓고 반성하고 있다고 하지만, 가족 역시 ‘사회의 철창’ 속에서 살아야 해서 그렇다”며 “누가 찾아와도 얼굴을 내밀기가 어렵고 모멸스럽다. 그렇다 보니 가족들이 전화 와서 도움을 청하는 경우도 많다”고 했다.

그는 이 1342 센터가 마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을 드러냈다. 박 센터장은 “이번에 전화상담 센터 생긴 것이 음지에 있던 마약 중독자들을 양지로 끌어 올려 사회의 재기를 꿈꾸게 할 수 있는 첫 단추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비밀이 보장되는 만큼 어려울 때 언제든지 전화를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서울 영등포구의 위치해 있는 용기한걸음 24시 마약류 전화상담센터에서 상담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사진=황병서 기자)

황병서 (bshwang@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