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야후, 자칫하면 제2 독도사태”“범정부 TF 구축해야”

이상덕 기자(asiris27@mk.co.kr) 2024. 5. 7. 13: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시민단체인 'IT 공정과 정의를 위한 시민연대' 준비위원회는 일본 정부의 행정지도로 발생한 '라인 사태'가 원만하게 해결되지 않을 경우 '제2의 독도 사태'로 비화될 수 있다고 7일 주장했다.

단체는 중앙대 위정현 다빈치가상대학장(한국게임학회장)을 준비위원장으로, 연내 IT 분야에서 공정성과 정의를 추구하는 시민 결사체로 정식 출범한다는 방침이다.

'IT 공정과 정의를 위한 시민연대'를 이끌 위 교수는 서울대 경영학 학사, 도쿄대 경제학연구과 박사를 받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IT 공정과 정의를 위한 시민연대’
위정현 한국게임학회장 이끌어
‘IT 공정과 정의를 위한 시민연대’ 준비위원장인 중앙대 위정현 다빈치가상대학장 <출처=중앙대>
시민단체인 ‘IT 공정과 정의를 위한 시민연대’ 준비위원회는 일본 정부의 행정지도로 발생한 ‘라인 사태’가 원만하게 해결되지 않을 경우 ‘제2의 독도 사태’로 비화될 수 있다고 7일 주장했다.

단체는 중앙대 위정현 다빈치가상대학장(한국게임학회장)을 준비위원장으로, 연내 IT 분야에서 공정성과 정의를 추구하는 시민 결사체로 정식 출범한다는 방침이다.

시민연대는 이에 대응하고자 범정부 태스크포스(TF) 구성을 촉구했다. 단체는 이날 성명서에서 “외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네이버의 입만을 바라보면서 수수방관하고 있는 현실은 개탄스러운 것”이라며 “국회와 정부, 민간의 전문가들을 포함한 국가적 TF를 통해 일본 정부의 부당한 압박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현대의 디지털 경제에서 한 국가의 주권과 영토는 물리적인 공간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며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디지털 공간과 주권 역시 대단히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이들은 “네이버 최수연 대표는 이번 라인 사태를 ‘이례적’이라고 규정하면서도 ‘중장기적인 경영 방침을 고려해 결정하겠다’며 사태의 본질을 흐리고 있다”며 “지금 라인을 뺏긴다면 네이버는 지금까지 쌓아온 해외 진출 역량과 기반이 송두리째 뽑힐 수밖에 없으며 원점에서 다시 시작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단체는 “네이버가 이번 사태 대응에 실패하고 소프트뱅크에 백기 투항한다면 향후 두고두고 네이버는 ‘친일 기업’으로 낙인찍힐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며 “13년간 피땀 흘려 일군 기업을 상대 국가의 압력에 굴복해 넘겨준다면 이를 환영할 국민은 없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단체는“이번 사태가 라인을 완전히 탈취하기 위한 ‘보이지 않는 손의 작용’이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며 “일본 정부와 자민당의 라인과 네이버 때리기가 혹시 소프트뱅크라는 일본 기업의 라인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 아닌가 하는 합리적 의심이 든다”고 덧붙였다.

‘IT 공정과 정의를 위한 시민연대’를 이끌 위 교수는 서울대 경영학 학사, 도쿄대 경제학연구과 박사를 받았다. 또 2022년에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후보의 게임메타버스 특보단에 참여했다. 현재는 한국게임학회장과 콘텐츠미래융합포럼 의장을 맡고 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