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주 역사, 고작 1000년?”…2000년 전통의 ‘이것’, 알고보니 체코 대표 술이었네 [전형민의 와인프릭]
혹시 밀루유떼(Miluju te)라는 말을 아시나요? ‘사랑한다’는 뜻을 담은 체코어인데요. 지난 2005년 최고 시청률 31%를 기록하며 팬들에게 ‘소원의벽 앓이’를 일으켰던 드라마 <프라하의 연인> 덕분에 우리나라에도 알려졌습니다.
체코는 ‘동유럽의 숨은 보석’으로 불립니다. 지난 1968년 프라하의 봄 이후 1989년 벨벳 혁명을 통해 정권교체를 이뤄내기까지 힘든 시기를 거치며 국제사회에서 상대적으로 덜 알려졌기 때문인데요. 혁명 이후 30여년, 어느덧 체코의 수도 프라하는 우리에게 아름다운 역사 건축물과 경관을 잘 보존한 관광지로 발돋움 했습니다.
비단 드라마나 관광지가 아니더라도 우리는 이미 체코의 대표적인 상품을 즐기고 있습니다. 누구나 한번쯤 마셔봤을만한 라거와 스타우트를 대표하는 두 맥주 브랜드, 필스너 우르켈(Pilsner Urquell)과 코젤(Kozek)입니다. 체코의 맥주 산업은 공식적인 기록으로 확인되는 역사만 1000년이 넘을 정도로 유구한 전통을 가지고 있죠.
상황이 이렇다 보니 많은 이들이 ‘체코=맥주’라는 공식을 쉽게 떠올립니다만, 알고 보면 체코의 와인 산업은 고대 로마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 맥주보다 더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2000년 전 로마인들이 그 넓은 영토 중 왜 굳이 체코 땅에서 와인을 양조했을까요?
상술했듯, 최초로 체코 땅에 포도를 재배한 것은 기원후 2세기 무렵 로마인이었습니다. 당시 이 지역을 점령하던 로마 군단이 체코 남부 미쿨로프(Mikulov) 팔라바(Palava) 언덕에 대규모 전초 기지를 세우면서 입니다.
역사에 따르면, 278년 로마의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Marcus Aurelius Probus) 황제가 알프스 북쪽에 포도 재배를 금하는 도미티아누스(Domitian) 황제의 명령을 취소시키면서 팔라바 지역에서 포도 재배 및 와인 양조를 할 것을 권장했다고 합니다. 그 증거로 팔라바(Palava) 평원 근처에서 당시에 사용됐던 포도 재배 전용 칼과 포도 씨앗이 발견되기도 했죠.
와인은 당시로서는 매우 중요한 생필품이자 교역품이었습니다. 로마는 속국들에게 팔아 교역 이득을 챙기는 품목 중 하나로 와인을 적극 활용했는데요. 와인이 그 속국에서도 생산되면 판매량이 줄겠죠. 그래서 초창기 도미티아누스 황제는 당시 로마인들에게 심리적 마지노선인 알프스 북쪽에서의 포도 재배를 금지한 겁니다.
근데 이 명령이 취소됩니다. 이유는 당시 로마군의 보급 때문이었습니다. 로마군은 식수로 1인당 매일 1리터에 달하는 포도주(포스카)를 보급받았습니다.
하지만 영토가 급격하게 확장함에 따라 보급로가 너무 길어지게 됐고, 이는 곧 제국에 부담으로 다가옵니다. 그래서 차라리 현지에서 보급을 조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 겁니다. 우리 식으로 표현하면 둔전(屯田)인 셈입니다.
본격적으로 문서에 이 지역의 와인 양조 흔적이 다시 나타난 것은 875년께 모라비아 스바토프루크 왕자(Prince Svatopluk)가 보헤미아 지방 보르지보이 왕자(Prince Borivoj)의 아들 탄생을 축하하며 와인을 보내면서 입니다.
보르지보이 왕자의 아내인 루드밀라(Ludmila)가 이 와인의 일부를 비로 내려달라는 기원의 뜻을 담아 ‘수확의 신’인 크로시녜(Krosyne)에게 바쳤고, 실제로 농사가 잘 되자 그녀와 보르보이 왕자는 보헤미아 지역 멜니크(Melnik)에서 본격적인 포도 재배를 시작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들의 손자가 바로 ‘곡식과 와인의 성인’이자 보헤미아와 모라비아의 수호성인인 성 바츨라프(St. Wencelas)인데요. 체코인들은 지금까지도 그를 기리는 성 바츨라프 축제를 매년 9월 열고 있습니다. 그리고 모라비아와 보헤미아는 지금까지도 체코 와인법으로 지정된 주요 와인 산지 입니다.
이후 13세기 무렵 인접 와인 선진국이었던 독일과 오스트리아로부터 주요 품종은 물론 포도밭 경작과 양조 방법까지 도입하고, 비옥한 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체코 와인 산업은 황금기를 맞이하죠. 이러한 영향 때문에 체코 와인의 대부분은 화이트 와인, 그중에서도 리슬링(독일)과 그뤼너 벨트리너(오스트리아) 품종이 주력 품종으로 자리잡습니다.
이후 체코 와인은 수십년 간 집단농장 등으로 절멸하다시피했지만, 1989년 벨벳 혁명 이후 다시 싹을 틔웁니다. 체코가 공산권으로부터 분리 독립하면서 다른 유럽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와인 산업의 부가가치 창출에 본격적인 관심을 갖게된 것이죠.
현재는 1995년 제정된 ‘와인법’에 따라 지리적 표시를 하는 와인 산지(프랑스의 AOC 개념)를 모라비아와 보헤미아 2곳으로 지정하는 등 서구의 체계적인 와인 시스템을 따라가고 있습니다. 생산되는 와인의 대부분(96%)은 모라비아에서 나오고, 1만9000㏊ 정도의 포도 재배 면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축약하자면 체코 와이너리들은 2000년에 가까운 역사와 전통을 지녔지만, 1900년대에 있었던 수십년의 암흑기 덕분에 오히려 유럽의 그 어느 지역보다 최신식 양조 설비와 방식을 보유하게 됐습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체코 와인은 와인 산업의 발전 속도도 빠르고, 요즘 트렌드에도 민감한 편입니다. 신(新) 구(舊) 조화를 통해 ‘힙’한 와인으로 거듭났다고 볼 수 있겠죠.
쿠르데요프 마을은 1200년대부터 포도를 생산하고 수출한 기록이 남아있지만, 중세를 거쳐 근현대에서 오랜 시간 버려진 마을이었습니다. 다시 양조를 시작한 것은 현재 그루다우 와이너리의 오너인 호트가(家)가 2012년 와이너리를 설립하면서 입니다.
현대식 와이너리로 완공된 것은 불과 2년 전인 2022년이죠. 그런데 새로 만든 와이너리의 면모가 놀랍습니다. 유럽 주요 와인 생산 국가들의 핵심 와이너리들 못지 않은 현대식 공정을 도입하고, 요새 트렌드인 환경을 고려한 지속가능성(sustainibility)을 염두에 둔 장치들이 요소마다 빛납니다.
대량 생산을 할 수 있는 넓은 땅이 있지만, 전부를 활용하지 않고 일부만 이용하는 식으로 환경과 포도밭의 조화를 강조하고요. 언덕 위 와이너리 건물을 지으면서 지하로 파고 내려가 건물 윗부분에도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습니다. 와이너리 건물 어디에도 에어컨이 없다는 것도 이런 자연주의의 발로입니다.
그루다우 와이너리의 오너이자 양조자인 호트(Mr.Hort)씨는“많은 사람들에게는 유기농 인증이 중요할지 모르지만, 개인적으로는 꿀벌이 최고의 인증(the bees are the best certification)”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런 친환경 자연주의의 영향일까요. 그루다우에서 생산된 와인은 자연의 맛을 충실히 담으려고 노력한 흔적이 돋보입니다. 호트씨는 “와인은 포도밭에서 만들어지고, 우리는 와인 양조 대부분(90% 이상)의 시간을 포도밭에서 보낸다”며 “우리가 실제로 통제하는 것은 발효 중 온도뿐”이라고 강조합니다.
큰 자본이 투자된 와이너리가 10년여 만에야 겨우 본격적으로 돌아가기 시작했는데도, 판매보다 제대로된 고품질의 와인을 만들겠다는 와이너리의 철학도 돋보입니다. 그는 “현재 연간 5만병 정도를 생산하고 있지만, 생산량을 6만병 전후로 제한할 생각”이라며 “우리 땅에서 역사적으로 재배돼온 품종을 클래식하게 현대적으로 표현해내는 것에 집중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물론 맛과 향의 실타래를 쫓다보면 아주 섬세한 매력이 나타나서 그 자체로도 충분히 매력적이지만, 특히 음식과 함께할 때 시너지 효과가 기대되는 와인입니다.
와인 전문 비평가이자 작가인 스튜어트 피고(Stuart Pigot)는 그루다우 와인에 대해 “바카우(Wachau·오스트리아의 주요 와인 산지, 리슬링과 그뤼너 벨트리너를 주로 생산) 와인이 떠오르지만, 더 신선하다. 같은 품종 와인 중 최고 수준의 품질”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아직 계절 분류상 봄이 한달이나 남았지만, 요즘 날씨는 사실상 초여름에 접어든 듯 합니다. 날이 더워지면 시원한 음료를 찾기 마련이죠. 거기에 청량감을 더해줄 탄산이 함께한다면 금상첨화일 겁니다.
‘퇴근하고 시원한 맥주 한 잔?’이라는 친구들의 부름이 잦아지는 늦봄, 이번 모임에는 맥주 대신 청량한 화이트 와인 어떠신가요? 아름답고 서늘한, 그리고 아직 과거의 풋풋함이 느껴지는 체코의 자연을 닮은 와인은 좋은 선택이 될 겁니다.
*방한한 그루다우 와이너리 오너 호트씨와의 인터뷰를 재구성 했습니다.
**와인프릭이 한주 쉬어갑니다. 필자가 CWI(캘리포니아와인협회) 초청으로 일주일 간 지속가능생산과 관련한 서밋에 참석합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4천만원 드릴게요 제발”…미분양 털려고 ‘눈물의 할인’ 들어간 아파트들 - 매일경제
- ‘이곳’ 가봤더니 가성비 새 아파트 수두룩…서울 사는 30대 “6억에 샀어요” - 매일경제
- “대체 뭐가 아쉽다고”…진료비 부풀려 건보료 빼먹은 의사 ‘덜미’ - 매일경제
- “틀린 말 없다”…‘북쪽 김정은 돼지는’ 나훈아 작심비판에 정치권 반응 - 매일경제
- [속보] 공수처, ‘채상병 사건’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 소환 - 매일경제
- 초등생 편지에 “만나길 기대” 답장한 항공사 대표, 무슨 일? - 매일경제
- “손예진도 ‘이 건’ 못 참아”…8만명 몰린 성지에 사상 최대규모 ‘떡페’ 열려 - 매일경제
- “황금연휴부터 여름휴가까지”…해외여행객 잡는 로밍 혜택 알아보니 - 매일경제
- 中 전기차 내수 주는데 공급은 넘쳐나는 이유는? [★★글로벌] - 매일경제
- “사기 진작 차원에서...” 뒷돈 논란 前 KIA 장정석 단장·김종국 감독, 첫 재판서 혐의 부인 - M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