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 놀아?" 물었더니 "안 놀아요"...어린이 놀 권리 어디로?

김주미 2024. 5. 3. 16:3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유엔아동권리위원회 아동권리협약 31조에는 '아동이 적절하고 균등하게 누려야 할 놀이권'이 명시되어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어린이의 10명 중 4명은 하교 후 또래와 놀지 않는다고 답했다.

어린이들에게 하교 후 또래와 노는 장소를 묻는 문항에서 '놀지 않는다'고 응답한 학생이 38.3%로 나타났고, 나머지 응답자는 도시 지역 학생의 경우 '동네 놀이터'(40.9%), 농어촌 지역 학생은 '학교 운동장'(43.1%)을 꼽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김주미 기자 ]

shutterstock

유엔아동권리위원회 아동권리협약 31조에는 '아동이 적절하고 균등하게 누려야 할 놀이권'이 명시되어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어린이의 10명 중 4명은 하교 후 또래와 놀지 않는다고 답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초등위원회가 어린이날을 맞아 전국 초등학교 4~6학년 2천450명, 초등교사 761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실시한 '2024년 어린이의 삶과 또래놀이 실태조사' 결과는 이런 현실을 보여준다.

어린이들에게 하교 후 또래와 노는 장소를 묻는 문항에서 '놀지 않는다'고 응답한 학생이 38.3%로 나타났고, 나머지 응답자는 도시 지역 학생의 경우 '동네 놀이터'(40.9%), 농어촌 지역 학생은 '학교 운동장'(43.1%)을 꼽았다.

방과 후 또래와 노는 빈도를 알아본 설문에서는 '일주일에 1∼2일 정도'가 32.1%로 가장 많았고 '거의 없다'도 27.9%였다. 매일이라고 답한 어린이는 7.7%밖에 되지 않았다. 이는 10명 중 6명의 어린이가 거의 놀지 않거나 일주일에 1∼2일만 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교 수업 후 친구와 놀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는 '학원·학습지·온라인 학습을 해야 해서'가 81.9%로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학교 방과 후 수업을 가야 해서'(33.1%), '함께 놀 친구가 없어서'(9.5%) 순으로 나타났다.

매일 놀고 싶다고 한 어린이는 12.0%였고, 놀고 싶은 장소는 키즈 카페 등 상업 시설이 1위(42.0%)에 올랐다.

아울러 어린이들이 학교에서 쉬는 시간을 보내는 장소는 교실이 90.4%로 가장 많았고, 복도(33.4%), 운동장·놀이터(23.8%) 순으로 나타났다.

어린이들의 대부분(94%)은 놀이 후 '즐겁고 재밌다'며 긍정적인 감정을 느꼈고, 일부 학생들은 '친구와 마음이 잘 맞지 않아 힘들다'(4.2%), '혼자 있고 싶은데 귀찮다'(3.6%) 등 부정적 감정도 느낀다고 밝혔다.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놀이는 주로 활동성이 큰 놀이(피구, 축구, 술래잡기)였고, 방과 후 좋아하는 또래 놀이 1위로 꼽힌 것은 '이야기하며 놀기'(71.5%)였다.

한편 교사 42.8%는 어린이 또래 놀이를 위해 학교로부터 받는 지원이 없다고 답했다. 이들은 또래 놀이 활성화를 위해 ▲ 학급당 학생 수 감축(70.3%) ▲ 안전사고에 대한 교육 당국 책임 강화(60.9%) ▲ 쉬는 시간 놀이 지킴이 인력 충원(39.8%) 등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또래놀이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놀이 활동을 넣은 수업'(70.8%)이나 '쉬는 시간을 최대한 확보'(61.9%)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봤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KIZM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키즈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