巨野 '입법독주' 본색에 … 대통령실 "협치 잉크도 안말랐다"

신유경 기자(softsun@mk.co.kr)위지혜(wee.jihae@mk.co.kr), 구정근 기자(koo.junggeun@mk.co.kr) 2024. 5. 2. 17: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야당이 2일 국회 본회의에서 '해병대 채상병 사망 사건 수사외압 의혹 특별검사법'(채상병 특검법)을 강행 처리하면서 국회가 다시 격랑에 휩싸였다.

이날 더불어민주당은 본회의 도중 채상병 특검법을 안건으로 추가로 상정하는 의사일정 변경 동의안을 기습 제출했다.

그러자 김 의장은 채상병 특검법이 패스트트랙에 지정돼 본회의에 자동 부의된 상태임을 환기한 뒤 "신속처리제도의 취지에 비춰볼 때 여러 고려 끝에 오늘 표결을 처리하도록 하겠다"고 선언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민주, 채상병 특검법 단독처리
본회의 중 일정 바꿔 기습상정
김진표 "취지고려 오늘 표결"
거부권 행사땐 이달 말 재의결
국민의힘 의원들 퇴장 '파행'
불출마 김웅 홀로 남아 찬성표
윤재옥 "의사일정 협조 못해"
이태원참사 551일만에 법통과
2일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해병대 채상병 사망 사건 수사외압 의혹 특별검사법' 상정을 두고 김진표 국회의장(왼쪽)과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앞쪽),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논쟁을 벌인 뒤 각자 자리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야당이 2일 국회 본회의에서 '해병대 채상병 사망 사건 수사외압 의혹 특별검사법'(채상병 특검법)을 강행 처리하면서 국회가 다시 격랑에 휩싸였다. 여야가 전날 이태원 특별법을 합의 처리하기로 하며 어렵게 협치의 물꼬를 텄지만 불과 하루 만에 제자리로 돌아간 셈이 됐다. 총선 이후 처음 열린 본회의마저 파행으로 치달으면서 '야당 단독 처리'와 '대통령 거부권(재의요구권) 행사'가 또다시 반복될 것으로 관측된다.

이날 더불어민주당은 본회의 도중 채상병 특검법을 안건으로 추가로 상정하는 의사일정 변경 동의안을 기습 제출했다. 김진표 국회의장이 양당 원내대표를 불러 논의했지만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상정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러자 김 의장은 채상병 특검법이 패스트트랙에 지정돼 본회의에 자동 부의된 상태임을 환기한 뒤 "신속처리제도의 취지에 비춰볼 때 여러 고려 끝에 오늘 표결을 처리하도록 하겠다"고 선언했다.

채상병 특검법 처리는 일사천리로 진행됐다. 상정 이후 재석 인원 168명이 만장일치로 찬성하며 야당 단독으로 본회의를 통과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단체로 퇴장하며 표결을 거부했고, 본회의장 앞에서 규탄대회를 열었다. 국민의힘에선 김웅 의원만 본회의장에 홀로 남아 찬성표를 던졌다. 김 의원은 채 상병 사망 사고가 총선 불출마를 택한 계기였다고 밝힌 바 있다.

윤재옥 원내대표는 "국회의장이 숙의 시간을 주겠다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사전 통보 없이 본회의장에서 민주당의 입법 폭주에 가담하고 의사일정을 독단적으로 운영한 데 대해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새 원내대표가 의사일정을 협의하겠지만 서로 불신이 팽배한 상황에서 의사일정 협의가 원만하게 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날 야당의 강행처리를 이끈 주인공은 김 의장이었다. 박지원 당선인이 유튜브 방송에서 김 의장에게 욕설까지 하는 등 야권에서 채상병 특검법 상정을 앞두고 지속적으로 김 의장을 몰아붙인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민주당은 이날 채상병 특검법을 처리해야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더라도 21대 국회 내에 재표결이 가능하다는 판단이었다.

채상병 특검법은 채 상병 사망 사건과 관계된 대통령실, 국방부, 해병대사령부 내 직권남용 사건 관계자를 수사 대상으로 규정했다. 또 야당 교섭단체가 대한변호사협회로부터 변호사 3명을 추천받아 특검 후보자를 추천하도록 했다. 특별검사보가 피의사실 이외의 수사 과정에 대해 언론 브리핑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점도 여당이 반대한 대목이다. 국민의힘은 야당 교섭단체가 특검 후보자를 추천하고 특검이 수사 상황을 브리핑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대표적인 '독소조항'으로 꼽아왔다.

채상병 특검법이 수사 대상으로 대통령실을 직접 겨냥하는 만큼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온다. 윤 대통령은 현재까지 총 9번의 거부권을 행사했다. 국민의힘 역시 윤 대통령에게 거부권 행사를 건의할 방침이다. 이날 윤 원내대표는 "입법 과정과 법안 내용을 볼 때 거부권을 건의해볼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며 "거부권 건의 시점은 원내 의원들과 상의해보겠다"고 말했다.

다만 윤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더라도 여당에서 이탈표가 발생할 수 있다. 민주당은 윤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할 경우 오는 27~28일에 재표결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재표결 시 재석의원 3분의 2 이상 동의로 법안이 의결될 수 있다. 본회의에 모두 출석한다고 가정하면 198표가 필요한데, 국민의힘에서 18표의 찬성표만 나오면 의결이 가능하다. 여당에선 김 의원 외에도 안철수 의원 등이 채상병 특검법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표명해왔다.

[신유경 기자 / 위지혜 기자 / 구정근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