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기의 시대가 앗아간 아버지, 60년만에 되찾았죠"

정혜진 기자 2024. 5. 1. 17:4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버지의 시대가 '광기의 시대'였다는 생각이 들어요."

'우리시대의 소설가'로 이상문학상을 수상한 소설가 조성기(74·사진)는 아버지의 이야기를 남기기까지 육십여년의 세월이 걸렸다.

'우리 시대의 소설가'를 비롯해 '우리 시대의 무당', '우리 시대의 법정' 등 '우리 시대의' 시리즈를 망라했지만 정작 우리 시대의 아버지는 그에게 큰 숙제였다.

그가 말한 두 개의 권위는 아버지와 그 시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버지의 광시곡' 쓴 조성기 소설가
알코올 중독자였다 생각했는데
알고보니 '박정희 정권'서 탄압
감춰진 아버지 진짜 모습 파헤쳐
/사진 제공=한길사
/사진 제공=한길사
[서울경제]

“아버지의 시대가 ‘광기의 시대’였다는 생각이 들어요.”

‘우리시대의 소설가’로 이상문학상을 수상한 소설가 조성기(74·사진)는 아버지의 이야기를 남기기까지 육십여년의 세월이 걸렸다. ‘우리 시대의 소설가’를 비롯해 ‘우리 시대의 무당’, ‘우리 시대의 법정’ 등 ‘우리 시대의’ 시리즈를 망라했지만 정작 우리 시대의 아버지는 그에게 큰 숙제였다.

조 작가는 지난 달 30일 ‘아버지의 광시곡’ 출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버지에 대한 해석이 달라졌다”며 " 오랫동안 저를 눌러왔던 두 개의 권위가 내려앉은 것을 느꼈다”고 말했다. 그가 말한 두 개의 권위는 아버지와 그 시대다.

자전적 소설의 시대적 배경은 ‘박정희 시대’다. 조 작가가 초등학교 6학년이던 당시 교사였던 아버지가 행방불명됐다. 부산지역 교원노조 위원장으로 활동하다가 육군형무소에 잡혀간 것. 6개월 후 아버지가 출감했을 때 사회적 역할을 상실한 아버지는 어린 조성기의 눈에는 그저 알코올중독자였다.

조 작가는 “아버지 입에서 나오는 욕설을 막으며 아버지의 취한 몸을 질질 끌고 올 때면 너무 괴로워서 아버지로부터 벗어나는 게 소원이었다”며 “그때는 알코올중독자로만 여겨졌던 아버지가 했던 교원노조 운동이 한국 노조운동의 효시가 됐다는 것도 이번에 작업을 하면서 새롭게 평가하게 됐다”고 말했다.

아버지가 교원노조에 열중하게 된 데는 1960년 3·15 부정 선거 당시 정부의 지시로 교원들을 비롯한 공무원들이 투표함 교체, 5인조 투표, 참관인 매수 등 부정 선거의 하수인으로 앞장섰다는 자괴감에서였다. 아버지는 괴로운 현실에서 벗어나기 위해 한 가지에 매달렸다. ‘사법고시(사시)’였다. 경기고에서도 곧잘 1등을 하던 아들이 서울대 법대에 합격했을 때도 수석 합격이 아니라는 말에 핀잔을 줬다. 기독교에 푹 빠져 사시를 치지 않겠다고 선언한 아들에게 아버지는 입고 있던 러닝 셔츠를 찢으며 포효했다. “독학으로 고시에 도전한 나도 있는데 넌 비겁한 놈이야.”

실제로 아버지는 고집처럼 1972년까지 매년 사시를 치렀다. 조 작가는 “그때는 내 길을 간다고 고집했지만 자식을 키워보니 아버지의 심정을 알 것 같다”며 “그리운 마음과 서운한 마음이 엇갈려 양가적인 감정이 있다”고 했다.

박정희 시대에 대한 분노로 살아가던 아버지는 아이러니하게도 박 전 대통령이 시해된 지 세 달이 채 안 돼 숨을 거뒀다. 그에게는 아버지와 박정희라는 두 개의 권위가 무너진 순간이기도 했다. 그가 내린 아버지의 인생의 정의는 ‘광시곡’이다. 미치지 않고는 살아갈 수 없었던 시대에 대한 회환과 화해이기도 하다. 조 작가는 “‘서울의 봄’ 영화를 20대 젊은이들이 즐기는 것을 보면서 깜짝 놀랐다”며 “역사적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아버지에 대한 추억으로 수렴이 되면서 공통점을 느끼면 즐길 수 있지 않을까”라고 전했다.

정혜진 기자 madein@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