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달러 환율 160엔 돌파… 일본, 추가 금리인상 부정에 엔저 가속화 外 [한강로 경제브리핑]

박미영 2024. 4. 30. 07:0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록적인 엔화 약세 흐름이 좀처럼 깨지지 않으면서 29일 오전 한때 일본 외환시장에서 엔·달러 환율이 34년 만에 160엔을 돌파했다. 지난 3월 17년 만에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해제한 일본 중앙은행 일본은행이 추가 금리 인상에 신중한 모습을 보이면서 미·일 양국 간 금리차를 의식해 엔화를 팔고 금리가 높은 달러를 사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된 데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미·일 금리차에 엔화 매도 가속화

NHK방송에 따르면 지난 26일 미국 뉴욕 외환시장에서 1달러당 158엔대를 기록한 환율 흐름이 이어지며 이날 엔화를 팔려는 움직임이 강해져 오전 10시30분쯤 160엔대에 진입했다. NHK는 “일본은 29일이 휴일이지만 해외 외환시장에서는 평소처럼 거래가 이뤄졌다”며 “160엔대를 기록한 것은 1990년 4월 이후 34년 만”이라고 전했다. 이후 엔화를 사려는 움직임이 급속히 형성되면서 오후에는 155엔대로 떨어졌다. 엔화 가치가 갑자기 급등한 것을 두고 일본 정부와 일본은행이 개입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교도통신은 시장 관계자를 인용해 “일본 정부와 일본은행이 외환시장에 개입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엔·달러 환율은 올해 1월 140엔대 수준이었으나 우상향 기조를 이어갔다. 지난 3월 일본은행이 금리를 인상하고, 연내에 추가 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되며 엔저 흐름이 바뀔 것이라는 기대도 있었으나 달라지지 않았다.

지난 26일 금융정책결정회의 후 우에다 가즈오(植田和男) 일본은행 총재가 추가 금리인상에 부정적인 견해를 밝힌 것이 초유의 엔화 약세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강하다. 일본은행은 이날 회의에서 금리 동결을 결정했고, 엔·달러 환율은 156엔대로 떨어졌다. 우에다 총재는 기자회견에서 “물가가 상승한다면 금융 완화 정도를 조정해 나가겠지만 당분간 완화적인 금융환경을 지속할 것”이라며 “엔저 흐름이 현재로서는 물가상승률에 큰 영향을 주고 있지는 않다”고 밝혔다. 닛케이는 “해외에서는 일본은행이 엔저에 대응해 조기에 금리인상에 나설 것이란 인식이 부상했지만 우에다 총재의 발언에 따라 ‘엔화 강세를 이끌 요소로서 일본은행은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로 돌아섰다”고 분석했다. 
사진=뉴시스
◆부업 뛰는 ‘N잡러’ 50만 돌파…청년층·40대 가파른 증가세

29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부업을 한 적 있는 취업자는 전년 같은 분기(월평균 45만1000명) 대비 22.4%(10만1000명) 증가한 55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취업자 중 부업자 비중은 2019년 1분기 1.34%에 그쳤지만, 지난해에는 1.97%를 기록하며 2%에 육박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60대 이상이 19만4000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50대(11만8000명), 40대(11만5000명) 순이었다. 30대(7만1000명)와 청년층(15∼29세·5만3000명)은 10만명을 밑돌았다.

증가세는 청년층과 40대가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1분기 청년층 부업자는 1년 전보다 30.9%(1만2400명) 늘어 증가폭이 가장 컸다. 40대는 같은 기간 27.7%(2만5000명) 늘어 증가폭이 두 번째로 컸고, 60대 이상(25.1%·3만9000명), 30대(14.9%·9300명), 50대(14.7%·1만5000명) 등이 뒤를 이었다.

N잡러가 최근 증가하고 있는 건 배달 라이더로 대표되는 플랫폼 일자리가 확산한 데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플랫폼 일자리의 상당수는 시간 제약 없이 근무할 수 있고, 기존 일자리와 비교해 쉽게 구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부업자가 늘고 있지만 소득 개선 정도는 미미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노동연구원이 지난 1월 발표한 ‘복수 일자리 종사자의 현황 및 특징’ 보고서에 따르면 복수 일자리 종사자들의 주업과 부업을 합친 월평균 소득은 294만7000원으로 단독 일자리 종사자보다 21만원 정도 많았지만, 시간당 소득은 1만3000원으로 1만6000원 적었다.
한 공사장에서 작업자들이 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금융당국 PF 정상 사업장엔 신규자금 투입 은행·보험에 인센티브 마련 중

금융당국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정상화를 위해 은행·보험사에 신규 자금 투입을 유도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사업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PF 사업장의 정상적 진행을 위해 브리지론(본 대출 전의 중간 대출)에 자금을 투여해 유동성에 숨통을 틔워주는 방안이다. 은행·보험의 참여를 용이하게 하도록 인센티브 방안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PF 부실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참여를 끌어낼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29일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다음달 중순 발표 예정인 ‘PF 정상화 방안’ 중 하나로 은행이나 보험이 사업장에 신규 자금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정상 사업장에 자금을 투입하는 회사에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사업성이 있는 PF 사업장에 투입한 신규 자금에 대해 별도로 건전성 분류를 ‘정상’으로 해주는 방안이 대표적이다. 금융사는 대출채권을 건전성이 높은 순서대로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5단계로 분류하고 분류에 맞춰 충당금을 적립한다.

은행의 투자 한도를 일정 기간 완화하거나 금융회사 임직원에 대한 면책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 등도 검토 대상으로 관측된다. 

문제는 은행과 보험권에서 선뜻 나서겠느냐는 점이다. 이혁준 나이스신용평가 본부장은 세계일보와 통화에서 “은행과 보험에 여력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사업장을 무작정 떠안을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사업성이 좋았으면 이미 본PF로 넘어갔을 텐데 지금까지 남은 사업장은 문제가 있다고 보는 게 맞다”며 “경·공매에 넘어가는 물량에 비해 은행·보험이 떠안을 사업장 수는 많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내다봤다.

박미영 기자 mypark@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