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전, 그후] 샤이보수 결집 무서웠다…용인정 '여전사' 이언주 4.18%p차

김경민 기자 2024. 4. 30. 06: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어느 때 보다 치열했던 제22대 총선.

20대 총선에서 프로파일러 표창원 민주당 후보가 6만 8273표(51.40%)를 얻어 5만 141표(37.75%)를 받은 이상일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후보를 1만 8132표차(13.65%p)로 눌러 당선됐다.

21대 총선에선 판사 출신 이탄희 민주당 후보가 7만 9794표(53.46%)를 받아 6만 5358표(43.79%)를 얻은 김범수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후보와 1만 4436표차(9.67%p)를 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지구 내 4개 동 중 죽전2동서만 패배…1.67%p 격차
기흥구 동백1동 23.13%p 차로 완승

[편집자주] 어느 때 보다 치열했던 제22대 총선. 최대 승부처는 수도권이었다. 이중에서도 당락을 가른 표 차이가 5%포인트(p) 미만인 선거구가 20곳에 달한다. 이념, 계층, 세대, 지역으로 갈라진 우리나라 정치지형을 낱낱이 보여주는 곳들이다. 5%p의 차이를 극복하고 당선한 후보들은 누구며, 승패의 결정적 요인은 무엇이었는지 차례로 분석한다.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서울=뉴스1) 김경민 기자 =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경기 용인정에서 강철호 국민의힘 후보를 6720표차(4.18%p)로 꺾고 여의도 복귀에 성공했다. 용인정은 민주당 텃밭으로 통하지만, 선거구 조정에 막판 보수 표심 결집으로 이 당선인이 신승을 거둘 수밖에 없었다고 정치권은 평가하고 있다.

30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 당선인은 8만 2156표(51.06%)를 얻어 7만 5436표(46.88%)를 받은 강 후보를 6720표차(4.18%p)로 누르고 원내 재진입했다. 이기한 새로운미래 후보는 3308표(2.05%)로 집계됐다.

용인정은 기흥구 구성동·마북동·동백1동·동백3동·보정동과 수지구 죽전1동·죽전2동·죽전3동·상현2동이 속한다. 20대 총선 때 신설되고 매 선거마다 선거구 개편을 거쳤으나 민주당이 내리 승기를 잡은 민주당 강세 지역구다. 이번엔 동백2동은 빠지고 동백3동과 죽전2동이 새롭게 편입했다.

20대 총선에서 프로파일러 표창원 민주당 후보가 6만 8273표(51.40%)를 얻어 5만 141표(37.75%)를 받은 이상일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후보를 1만 8132표차(13.65%p)로 눌러 당선됐다.

21대 총선에선 판사 출신 이탄희 민주당 후보가 7만 9794표(53.46%)를 받아 6만 5358표(43.79%)를 얻은 김범수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후보와 1만 4436표차(9.67%p)를 냈다.

당 안팎에선 기흥구 동백1동·동백3동과 수지구를 민주당 경합 우세 지역으로, 기흥구 구성동·마북동·보정동을 경합 열세 지역으로 봤다. 동백1동·동백3동은 3040세대가, 구성동·마북동·보정동은 중장년층이 비교적 많아 기흥구 내에서도 표심이 엇갈린다.

이번 총선에서도 큰 이변은 없었다.

먼저 이 당선인은 수지구 내 4개 동 중 죽전2동에서 유일하게 패배했다. 146표차(1.67%p)였다. 정권 심판론이 총선 전반을 아우르며 민주당 압승 여론이 '샤이 보수'를 투표장으로 이끌었다고 정치권은 분석했다.

나머지 △죽전1동 469표차(2.83%p) △죽전3동 283표차(2.41%p) △상현2동 432표차(2.48%p)로 강 후보를 제쳤다.

기흥구 내 5개 동 중 구성동·마북동·보정동에서 졌다. 이 지역은 중장년 인구가 많아 보수세가 강하다. 이 당선인은 △구성동 396표차(1.86%p) △마북동 1253표차(7.52%p) △보정동 939표차(4.68%p)로 강 후보에게 밀렸다.

동백1동과 동백3동에선 강 후보를 각각 3565표차(23.13%p), 406표차(3.25%p)로 앞섰다.

변호사 출신인 이 당선인은 2012년 민주통합당(현 민주당)에 입당해 19대·20대 재선 의원을 지냈다. 주류에 맞서다 2017년 민주당을 탈당해 국민의당, 바른미래당, 미래통합당을 거쳐 이재명 대표의 권유로 지난 2월 민주당에 복당했다. 이 당선인은 공천 과정에서부터 추미애 경기경기 하남갑당선인, 전현희 서울 중·성동갑 당선인과 함께 '여전사 3인방'으로 불리며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용인정 국회의원 당선인. 뉴스1 ⓒ News1 송원영 기자

kmk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