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화 가치 '곤두박질'…34년 만에 최저치, 우리나라엔 어떤 영향?

안상우 기자 2024. 4. 29. 20: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 엔화 가치가 곤두박질치면서 지난 199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까지 떨어졌습니다.

이렇게 엔화 값이 싸지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일본에 놀러 가는 사람이 계속 늘고 있는데, 큰 틀에서 봤을 때 이게 우리 경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안상우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지난 3월, 일본이 8년 만에 마이너스 금리를 끝내고 전격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자, 시장은 중장기적으로 엔화 값 상승을 점쳤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일본 엔화 가치가 곤두박질치면서 지난 199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까지 떨어졌습니다.

이렇게 엔화 값이 싸지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일본에 놀러 가는 사람이 계속 늘고 있는데, 큰 틀에서 봤을 때 이게 우리 경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안상우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지난 3월, 일본이 8년 만에 마이너스 금리를 끝내고 전격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자, 시장은 중장기적으로 엔화 값 상승을 점쳤습니다.

하지만, 예상은 빗나갔습니다.

심지어 지난 26일 일본의 금리 동결 결정 후, 엔 달러 환율은 요동치더니 사흘만인 오늘(29일) 한 때 160엔 선까지 돌파했습니다.

금융 완화 유지, 그러니까 금리를 더 올리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기 때문입니다.

[우에다 카즈오/일본은행 총재 (지난 26일) : 기조 물가가 예상대로 움직인다면 통화 완화 정도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지금의 완화적인 금융 정책이 당분간은 유지될 걸로 보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과 일본의 금리 차는 5.5%P, 그런데 미국은 금리 언제 내릴지 모르고, 일본은 금리 안 올리겠다고 하니, 이 큰 금리 차는 장기간 이어질 거고 엔화 매력은 떨어져 약세로 직행한 겁니다.

오늘 일본 정부 개입으로 추정되는 엔화 매수세가 나와 160엔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하건형/신한투자증권 연구원 : 버블경제가 붕괴가 되기 전 숫자까지 올라가다 보니까 여기(160엔)가 뚫리게 되면 다음 상단이 180엔 정도로 보이거든요. 그러다 보니까 좀 강하게 개입을 했다(고 보입니다.)]

엔화와 동조현상이 뚜렷했던 원화는 GDP 등 경제지표 호조 영향으로 오늘 큰 영향은 받지 않았습니다.

[문정희/국민은행 연구원 : 미국과 한국 간의 금리 차, 그다음에 한국의 경제 펀더멘탈, 물가 수준 이런 것들도 있기 때문에 원화에도 약세 압력으로 작용하지만 강도의 차이는 좀 있을 수 있다.]

다만, 불안정한 거시 변수로 환율 추가 상승, 그에 따른 물가 자극 가능성은 여전합니다.

또 일본 증시 활황에 일본 ETF와 일본 펀드에 투자한, 이른바 '일학 개미'들은 환차손에 수익률이 떨어지고, 일본 방문 여행객은 더 늘어나 우리 내수에는 부정적일 수 있습니다.

(영상취재 : 오영춘, 영상편집 : 김진원, 디자인 : 방명환)

안상우 기자 asw@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