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죽거나 혹은 휴직하거나"... 공무원 악성민원 피할 길은 그뿐

이유진 2024. 4. 29. 19: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그간 수많은 동료를 잃고 슬퍼하던 우리들, 이제야 한자리에 모여 애도합니다."

지방자치단체, 국회, 법원, 소방서 등 전국 곳곳에서 모인 공무원 1,300명(주최 측 추산)이 '악성 민원'에 시달리며 쌓인 울분을 토하기 위해 거리로 나왔다.

지난해 8월 공무원 노조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전체 응답자(7,061명)의 무려 84%(5,933명)가 '최근 5년 사이 악성 민원을 받아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민원 희생된 공무원 추모대회 열려
"악성 민원, 동료 죽음... 남 일 아냐"
"친절평가 폐지, 심리치료 지원해야"
전국공무원노조와 대한민국공무원노조 주최로 29일 오후 서울지하철 시청역 인근에서 열린 악성 민원 희생자 추모대회에서 참가자들이 "악성 민원을 타파하라"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스1

그간 수많은 동료를 잃고 슬퍼하던 우리들, 이제야 한자리에 모여 애도합니다.”

햇살이 따갑게 내리꽂히던 29일 오후 2시, 새까만 옷을 입은 수천 명이 서울지하철 시청역 일대 도로 한복판을 가득 채웠다. 흰색 장갑을 낀 채 연신 땀을 닦아내는 이들의 품에는 먼저 떠난 동료들의 영정사진이 들려 있었다.

대한민국공무원노조총연맹과 전국공무원노조가 주최한 집회에 참가한 공무원들이었다. 지방자치단체, 국회, 법원, 소방서 등 전국 곳곳에서 모인 공무원 1,300명(주최 측 추산)이 ‘악성 민원’에 시달리며 쌓인 울분을 토하기 위해 거리로 나왔다.

지난달 5일 악성 민원인에 의해 신상이 공개돼, 이른바 ‘좌표 찍기’의 표적이 된 김포시 9급 공무원 A(39)씨의 죽음이 도화선이 됐다. 도로 보수 공사 담당 주무관이었던 A씨는 항의성 민원에 괴로워하다 실명, 부서, 유선 번호 등이 온라인에 까발려지면서 더 끔찍한 고초를 겪어야 했다. A씨 뿐이 아니다. 최근 한 달 새 경남 양산시청, 충북 괴산군청, 경기 남양주시청, 양주시청에서 공직에 발을 들인 지 3개월에서 3년밖에 안 된 청년 공무원 4명이 비슷한 이유로 숨졌다고 한다.

전국공무원노조와 대한민국공무원노조 주최로 29일 오후 서울지하철 시청역 부근에서 열린 악성 민원 희생자 추모대회 참가자들이 동료의 영정사진을 본뜬 모형을 품에 안고 있다. 이유진 기자

이날 집회에 참가한 공무원들에게 이들의 죽음은 ‘남의 일’이 아니었다. 연단에 선 유해길 공무원노조 거제시지부장은 “저도 김포시 동료처럼 도로과에서 일하고 있다. 지난해 집 앞 배수로가 넘쳤는데 올해도 넘치면 죽이러 찾아오겠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했다. 그는 “우리에겐 죽거나, 휴직하거나, 면직하거나, 이 방법밖에 없느냐”고 소리쳤다.

경북 의성군청에서 일하는 50대 김민성씨는 “개발 인허가와 관련해 민원인이 매일 같은 시간에 찾아와 난동을 부려 그 시간만 되면 가슴이 벌렁대 정신과 치료를 받은 직원도 있다”고 증언했다. 그러면서 “윗선은 나서 주지 않고, 경찰에 신고해도 폭행이 아니라 공무집행 방해로 보긴 어렵다고 하더라”고 토로했다. 25년 차 소방관 고진영(54)씨도 “한밤중 화재 진압이 방해된다며 소방차, 소방관의 사진을 찍은 주민으로부터 ‘가만 안 두겠다’는 위협을 당한 적이 있다”고 털어놨다.

지난해 8월 공무원 노조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전체 응답자(7,061명)의 무려 84%(5,933명)가 ‘최근 5년 사이 악성 민원을 받아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서로 고통을 나눈 공무원들은 “악성 민원은 범죄”라고 외치며 용산 대통령실 앞까지 3㎞를 행진했다. 노조는 △반복·중복 민원 처리 간소화 △전화 친절도 조사와 친절평가제도 폐지 △공무원 개인신상 보호 및 악성 민원 피해공무원 심리치료 등을 정부에 촉구했다.

이유진 기자 iyz@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