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 곳 잃어가는 딱따구리, 우리가 지켜줄게

김지숙 기자 2024. 4. 29. 11:5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전 세계 240여 종이 사는데, 우리나라에는 쇠딱따구리, 아물쇠딱따구리, 오색딱따구리, 큰오색딱따구리, 청딱따구리, 까막딱따구리 등 6종이 서식한다.

이들은 앞으로 △우리 동네 및 학교 숲 딱따구리 탐험대 활성화 △딱따구리 이야기 마당 펼치기 △딱따구리 탐조 등 우리 숲과 딱따구리 보전 활동 등을 벌일 예정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애니멀피플]
국내 첫 딱따구리 보전 단체
“딱따구리의 생태적 역할 알릴 것”
4월27일 ‘딱다구리의 날’로 지정
27일 국내 최초 딱따구리 보전 단체 ‘딱다구리보전회’가 창립했다. 김성호 작가 제공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h:730’을 쳐보세요.

산림 개발과 나무 솎아베기(간벌)로 서식지를 잃고 있는 딱따구리의 생태적 가치와 역할을 알리는 ‘딱다구리보전회’가 창립했다.

국내 첫 딱따구리 보전 단체인 딱다구리보전회는 27일 서울시 중구 서울시청 바스락홀에서 창립 포럼을 열고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표준어는 딱따구리지만, 학계와 탐조가들 사이에서는 딱따구리보다 ‘딱다구리’라는 표현이 선호되기 때문에 단체명을 딱다구리보전회로 정했다. 딱다구리보전회는 숲의 생물 다양성을 지키고 기후변화를 막는 딱따구리의 역할을 알리고 이들을 보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딱따구릿과의 새는 나무를 두드리는 특유의 소리로 잘 알려져 있다. 딱따구리는 애벌레를 잡아먹거나 둥지를 짓기 위해 혹은 자신의 영역을 알리기 위해 나무를 쪼거나 두드린다. 전 세계 240여 종이 사는데, 우리나라에는 쇠딱따구리, 아물쇠딱따구리, 오색딱따구리, 큰오색딱따구리, 청딱따구리, 까막딱따구리 등 6종이 서식한다.

크낙새. 최원형 작가 제공

딱따구리는 도심 공원과 근교 숲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새지만, 지나친 산림 개발과 솎아베기 등으로 서식지가 줄고 있다. 딱따구릿과인 크낙새는 1993년 경기 포천시 국립수목원에서 목격된 뒤 국내에서 자취를 감췄고, 까막딱따구리도 멸종위기생물 2급이다.

이날 딱다구리보전회는 ‘우리 숲에 딱다구리가 살아요’라는 주제로 포럼을 열고, 매년 4월27일을 ‘딱다구리의 날’로 정했다. 포럼에는 숲 해설가, 환경단체 활동가와 교사, 예술가 등 시민 30여 명이 참여했다. ‘딱다구리 아빠’로 불리는 김성호 딱다구리보전회 공동대표는 “‘딱다구리’가 만든 나무속 둥지 하나가 다람쥐, 하늘다람쥐, 청설모, 큰소쩍새, 소쩍새, 솔부엉이 등을 키워낸다”며 “둥지가 만들어진 나무는 구멍이 있어서 태풍이 불면 쓰러진다. (인간을 통한) 기계적 분쇄가 아닌 자연적 분해를 도와 ‘숲의 순환’에 기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딱다구리보전회가 27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창립 포럼을 열고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딱다구리보전회 제공
딱다구리보전회가 27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창립 포럼을 열고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딱다구리보전회 제공

이들은 앞으로 △우리 동네 및 학교 숲 딱따구리 탐험대 활성화 △딱따구리 이야기 마당 펼치기 △딱따구리 탐조 등 우리 숲과 딱따구리 보전 활동 등을 벌일 예정이다. 딱다구리보전회는 김성호 생태작가(전 서남대 생명과학과 교수)와 홍석환 부산대 교수(조경학과)를 공동대표로 하고, 양경모 에코샵홀씨 공동대표를 운영위원장으로, 최원형 작가(‘사계절 기억책’ 지은이)를 사무국장으로 선임했다. 운영위원으로 정대수 우포생태교육원장, 최진우 서울환경연합 생태도시전문위원, 남종영 환경논픽션 작가가 참여했다.

딱다구리보전회는 숲의 생물 다양성을 지키고 기후변화를 막는 딱따구리의 역할을 알리고 이들을 보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김성호 작가 제공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