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을 대하는 산 자들의 몸짓…생의 의미를 깨우다

류재민 2024. 4. 29. 06: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텅 빈 무대 위 삶과 죽음의 경계가 불분명한 공간.

죽음은 한꺼번에 삶을 압축하고 죽은 자는 그 압축된 서사로 생이 끝난 이후의 여정을 시작한다.

황망히 떠난 영혼은 49일 동안 이승에 머물며 다양한 감정을 느끼고 자신의 죽음을 인식하고 저승으로 건너간다.

김 감독은 "삶과 죽음은 하나가 아니라 둘이 합쳐질 때 벼락, 천둥이 치는 것처럼 의미가 크다"며 "죽음을 바라보며 역설적으로 삶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생각해볼 수 있다"고 작품의 의미를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극장 제공

텅 빈 무대 위 삶과 죽음의 경계가 불분명한 공간. 허공을 부유하는 망자들이 심판을 기다린다. 어떤 삶을 살아왔을까. 죽음은 한꺼번에 삶을 압축하고 죽은 자는 그 압축된 서사로 생이 끝난 이후의 여정을 시작한다. 이승의 무대 위에 펼쳐진 저승의 세계는 누구도 피할 수 없는 숙명을 정면으로 마주하게 하며 지켜보는 이들의 삶을 반추하게 만든다.

인류가 오랫동안 궁리해왔던 죽음의 문제는 다양한 유산을 창조해냈다. 티베트의 위대한 스승 파드마삼바바는 인간이 죽은 뒤 사후세계에서 헤매지 않고 좋은 길로 갈 수 있게 이끄는 지침서 ‘티베트 사자의 서’를 썼고, 대만 작가 차웨이 차이는 이를 바탕으로 영상 ‘바르도’를 만들어냈다. 그리고 김종덕 국립무용단 예술감독은 ‘바르도’에서 영감을 얻어 망자가 고요의 바다에 이르는 여정을 춤으로 빚어낸 ‘사자의 서’를 탄생시켰다.

지난 25~27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선보인 ‘사자의 서’는 지난해 4월 취임한 김종덕 국립무용단 예술감독이 부임 후 처음 선보이는 안무작이다. ‘사계-꼭두의 눈물’(2009), ‘굿바이 맘’(2013) 등을 통해 존재론적 질문에 천착해온 그가 다시 한번 삶과 죽음이라는 보편적 주제를 호소력 있는 춤사위와 풍부한 감정선으로 그려냈다.

국립극장 제공

황망히 떠난 영혼은 49일 동안 이승에 머물며 다양한 감정을 느끼고 자신의 죽음을 인식하고 저승으로 건너간다. 살아남은 자들에게는 이 49일은 죽은 자에 대한 감정을 털어내는 시간이기도 하다.

이 기간 저승으로 가는 혼을 감싸고 벌어지는 일들을 김 감독과 국립무용단 단원들은 춤으로 생생하게 표현해냈다. 한국무용에 기반해 있으되 여기에만 국한되지 않고 더 넓은 장르로 확장한 몸짓이 시선을 사로잡았고 말을 할 수 없기에 더 선명해지는 망자의 몸부림이 몸으로 빚는 선의 미학을 극대화했다. 죽음이라는 형이상학의 영역을 다양한 은유와 상징으로 표현해내는 춤의 존재감이 돋보이는 무대였다.

‘사자의 서’에서 음악의 역할도 두드러졌다. 국악기 주법과 사운드를 변형해 연주·편집하고 앰비언트 사운드를 덧입힌 음악은 망자의 애절함과 사후세계의 신비로움을 극대화하며 작품의 서사에 힘을 실어줬다.

김 감독은 “삶과 죽음은 하나가 아니라 둘이 합쳐질 때 벼락, 천둥이 치는 것처럼 의미가 크다”며 “죽음을 바라보며 역설적으로 삶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생각해볼 수 있다”고 작품의 의미를 설명했다. 그의 말대로 죽음에 대한 성찰이 담긴 삶의 몸짓은 아직 죽음과 거리가 먼 관객들에게도 의미 있는 메시지를 전했다.

‘사자의 서’를 마친 국립무용단은 6월 ‘신선’과 ‘몽유도원무’로 돌아온다. 나란히 달오름극장에서 하며 27·29일은 ‘신선’, 28·30일은 ‘몽유도원무’를 선보인다.

류재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