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컴 부팅 준비... "소·부·장부터 키워야"

박건희 기자 2024. 4. 29. 05: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3대 게임체인저' 중 하나로 꼽는 양자컴퓨터(양자컴)의 핵심 부품 해외 의존도가 높다는 지적이다.

정부가 양자 소재·부품·장비의 자립화를 과제로 내세웠지만 갈 길이 멀다는 의견도 있다.

28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국내에서 개발 중인 초전도 양자컴퓨팅 시스템의 핵심 부품인 초전도 큐비트(Qubit·양자비트) 칩과 큐비트 제어용 장비 등은 대부분 해외 업체에서 수입해오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 2년 후 50큐비트급 개발계획 내놨지만
초전도 큐비트 칩 등 핵심부품 해외수입 의존
"韓 반도체 기술력 충분... 중소기업 등 투자 필요"
(서울=뉴스1) 오대일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5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동을 방문해 양자 컴퓨팅 관련 부스를 참관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024.1.5/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오대일 기자

정부가 '3대 게임체인저' 중 하나로 꼽는 양자컴퓨터(양자컴)의 핵심 부품 해외 의존도가 높다는 지적이다. 정부가 양자 소재·부품·장비의 자립화를 과제로 내세웠지만 갈 길이 멀다는 의견도 있다.

28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국내에서 개발 중인 초전도 양자컴퓨팅 시스템의 핵심 부품인 초전도 큐비트(Qubit·양자비트) 칩과 큐비트 제어용 장비 등은 대부분 해외 업체에서 수입해오고 있다. 부품을 생산할 기술력이 국내에 아직 갖춰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양자기술을 연구하는 한 국내 대학교수는 "큐비트 칩을 생산하는 네덜란드의 '퀀트웨어(Quantware)'사는 칩 1개당 1000만원 정도의 가격에 칩을 판매한다"며 "20큐비트짜리 양자컴을 만들기 위해 칩 구매에만 총예산 중 2억원이 소모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신호 측정과 제어 장비, 초저온 환경을 만들기 위한 냉동기 등 주요 부품까지 합하면 몇십억원에 해당하는 예산이 외국 기업에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양자 기술은 광자의 양자 중첩, 양자 얽힘과 같은 양자상태를 생성, 제어 및 측정·분석해 정보통신에 적용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기존 컴퓨터로는 불가능했던 복잡한 연산을 해낼 수 있다.

양자컴 핵심부품 '수입산' 의존에 대한 국내 전문가들의 발언/그래픽=최헌정


올해 초 정부는 국내 자체 기술로 개발한 20큐비트급 초전도 기반 양자컴퓨터를 공식 석상에서 시연했고 △2026년까지 약 490억원을 들여 50큐비트급 양자컴을 △2030년대 초까지는 1000큐비트급 양자컴을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표준연 초전도양자컴퓨팅시스템연구단에 따르면 20큐비트급 초전도 기반 양자컴퓨터에는 성균관대가 개발한 큐비트 칩이 사용됐다. 개발 초기엔 퀀트웨어 사의 제품을 구입했지만, 이후 성대 연구팀이 성능과 규격면에서 더 적합한 칩을 내놓자 이를 활용하게 됐다.

다만 냉각기, 측정 장비 등은 자체적으로 생산할 기술력이 없는 상황이다. 자칫 양자컴 개발 과정에 외국 기업만 배불리는 상황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상욱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양자정보연구단장은 "아직 큐비트 칩을 국내에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없는 건 사실"이라며 "반도체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 연구기관과 함께 칩을 개발하는 한편, 양자기술 관련 연구 장비를 개발하고자 하는 중소기업에 대해선 정부 차원에서 지원해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미 세계 정상급 반도체 기술을 보유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을 중심으로 초정밀 큐비트 칩, 양자 소자 등을 자체 생산할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중소기업들도 측정 장치, 냉각기 등을 국내에서 생산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는 평가이기도 하다. 드물기는 하지만 SDT처럼 국산 양자 부품·장비를 만드는 곳도 있다. MIT(매사추세츠공과대학)에서 물리학을 전공하고 KIST 양자정보연구단을 거친 윤지원 대표가 창업한 회사다.

한 단장은 "최근 양자 관련 학술행사에 양자기술 부품 개발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중소기업들이 찾아온다"고 했다. 그는 "새로운 부품 개발에는 초기 투자비나 개발비가 많이 들어간다"며 "기업 입장에선 아직 양자기술 시장이 열릴지 말지도 확신이 없는 상황에서 정부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했다. 또 "산학연이 함께 공동연구를 진행하는 '개방형 연구'가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언했다.

한편 지난 25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를 통과한 양자 과학기술 투자 방안인 '퀀텀 이니셔티브'에서도 양자 소재·부품·장비 및 양자 소자 설계 및 공정 분야를 포괄하는 '퀀텀 엔지니어링'이 한국이 양자시장에서 선점할만한 선도 기술로 꼽혔다. 양자 광원, 레이저, 신호 측정 및 제어 장비, 검출기, 냉동기 등 양자 기술의 핵심 부품을 자체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고, 양자 소자의 설계·제작까지 국내에서 완성하겠다는 구상이다.

박건희 기자 wissen@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