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 사령탑의 결말은 역대급 참사... 감독은 '내탓이오' -> '면피성 사과' KFA가 답 할 시간
[OSEN=이인환 기자] 진짜 '내 탓이오'는 감독이 아니라 다른 사람이 해야 된다.
황선홍 감독이 이끄는 U-23 축구대표팀은 27일 오후 12시께 인천공항 1터미널을 통해 귀국했다. 어두운 분위기 속 한국 땅을 밟았다. 이 자리에서 그는 겸직이 결과적으로 독이 됐다는 시선에대해서 "자신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밝혔다.
전날(27일) 황선홍호는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AFC U-23 아시안컵 8강전에서 신태용 감독의 인도네시아와 연장 혈투 끝에 2-2 무승부를 기록한 뒤 승부차기에서 10-11로 패했다. 이영준(김천)의 퇴장 악재 속 고군분투했지만 웃지 못했다.
인도네시아전 ‘충격패’로 한국은 오는 7월 개막하는 2024 파리올림픽에 출전하지 못한다. 파리올림픽 아시아예선을 겸해 열리는 이번 대회는 최종 성적 상위 3팀에 파리 직행 티켓이 주어진다. 4위는 아프리카의 기니와 플레이오프를 펼쳐 이겨야 본선으로 향한다.
한국은 8강에서 탈락하면서 10회 연속 올림픽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이 대회 전까지 1988년 서울 올림픽부터 매번(9회 연속) 본선 무대에 올랐었다. 한국이 올림픽 본선 무대에 오르지 못한 것은 1984년 로스앤젤레스(LA) 대회 이후 40년 만이다.
3월 A대표팀 겸직으로 이번 대회를 제대로 준비할 시간이 없었던 황선홍 감독이다. 그는 A대표팀 임시 지휘봉을 잡고 3월 2026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 2차 예선 3, 4차전을 치렀다. 여기에 어설픈
지난 2월 16일 경질된 전 한국 축구대표팀 감독 위르겐 클린스만의 뒤를 이을 ‘소방수’로 KFA가 황선홍 감독을 낙점했고, 어려운 상황을 외면할 수 없었던 황선홍 감독은 A대표팀 임시 감독직을 수락했다. 무리한 결정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다.
하지만 당시 정해성 전력강화위원장은 "다른 나라 협회에서도 필요한 경우 A대표팀 감독이 U-23 대표팀을 동시 맡기도 한다"라며 황선홍 감독 선임에 정당성을 부여했다. 황선홍 감독은 급한 불을 잘 껐다. 한국과 태국의 3월 A매치 2연전을 1승1무로 무난하게 마무리했다.
그러나 U-23 아시안컵에선 원하는 결과를 내지 못했다. 그는 이날 귀국 인터뷰에서 “작년 9월 항저우 아시안게임에 집중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끝나고 곧바로 올해 4월 이번 대회에 집중해야 했는데,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이 정말 짧았다. 몇 개월 밖에 안 됐다”라고 말했다.
감독 본인은 겸직이 문제냐는 질문에 내 탓이오라고 말했다. 그는 “솔직히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개인적으로 그 부분이 크게 영향을 미치진 않았다고 본다. 이런 결과에 대한 책임은 나에게 있다. 마음이 무겁고, 죄송한 마음을 금할 수가 없다”라고 사과했다.
반면 KFA는 역대급 참사에도 불구하고 내용 없는 사과문만 선보였다. KFA는 전날 입장문을 통해 “2024 AFC U-23 아시안컵 8강전 패배로 파리 올림픽 본선 진출이 좌절된 것에 대해 축구팬, 축구인을 비롯한 국민 여러분께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10회 연속 올림픽 출전을 위해 코칭스태프와 선수들 모두 최선을 다했지만 아쉽게 목표를 이루지 못했다. 축구 대표팀을 육성하고 지원하는 저희 KFA에 총괄적 책임이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에, 다시 한번 머리 숙여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선수와 지도자 육성, 대표팀 운영 체계를 면밀히 검토하고 개선 방안을 찾아내 더 이상 오늘과 같은 실패가 반복되지 않도록 하겠다. 당면 과제인 국가대표팀 감독 선임을 잘 마무리 짓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말 그대로 정확한 개선안이나 책임 대신 일단 사과만 하고 봤다는 해석으로 풀이된다. 황선홍 감독 임시 선임을 몰아붙이면서 결과가 잘못 나오면 책임을 지겠다는 말을 했던 정해성 위원장의 이름도 한국 축구의 암흑기로 몰아 넣고 있다는 정몽규 회장의 이름도 나오지 않았다.
말 그대로 특정 인물이 책임과 동시에 사과 하는 것이 아니라 회피성 사과로 풀이된다. 정말 KFA가 이 상항을 엄중하게 생각한다면 협회 차원이 아닌 누군가가 직접 이 사건에 대한 책임과 사과를 이야기해야 하는 상황이다.
앞서 KFA 관계자는 “입장문을 쓴 주체적인 인물이 있다기보단 협회 차원에서 사과문을 게재했다”라고 밝혔다고 한다. 하지만 황선홍 감독의 차출로 인한 10회 연속 올림픽 차출 실패는 협회 차원에서 지는 것이 아니라 명명백백히 시비를 가려서 누군가가 책임져야 될 상황이다.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 경질 이후 계속 표면적인 대처에만 그치고 있는 KFA. 과연 이번에는 어떻게 사태를 임시방편으로 수습하려고 할지 주목된다. /mcadoo@osen.co.kr
Copyright © OS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