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장 앞 저 번호..." 엄마가 휠체어 딸 위해 만든 감동 지도

남형도 기자 2024. 4. 27. 08: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휠체어를 탄 지체장애인들을 위한 '환승 지도', 올해 지하철역 80개로 늘어
협동조합 '무의(Muui)' 홍윤희 이사장…지하철 좋아하는데 고생하는 딸 위해 지도 만들어
"궁극적으로는 이 지도 자체가 무의미해지길 바라요."
지하철 승강장 몇 번으로 타서, 엘리베이터를 타기 위해 어느 방향으로 몇 미터를 가고, 어디로 가서 환승할 수 있는지 알려주는 '지도'. 대중교통을 타는 게 두려운, 휠체어를 타는 지체장애인들에겐 더없이 필요한 정보. 미리 살펴보고 용기를 가질 수 있도록, 그런 의미이기도 하다. 이 지도를 만들기 위해, 7년 동안 직접 지하철역을 다니며 지도를 만든 이들이 있었다./사진=남형도 기자

외출하는 엄마에게 묻는다.

"엄마, 2호선 강남역에서 신분당선 신논현역으로 갈아타고 싶어. 어떻게 가야 해?"

딸은 서울 지하철을 갈아탈 때마다 걱정이 많다. 여기인가, 저쪽인가. 엘리베이터를 찾아야 하는데, 어딨는지 계속 두리번두리번. 리프트가 있는지 찾느라 계단마다 헤매고. 힘들고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고.

휠체어를 타고 강남역에서 신분당선 신논현역으로 환승하기 위해, 몇 번으로 타서 어떻게 가야하는지 이리 상세히 적어두었다. 이른바 서울 지하철 '교통약자 환승지도'. 협동조합 무의 홈페이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사진=협동조합 무의 홈페이지 내 지도 화면

엄마가 지도를 보며 딸에게 말한다.

"지하철 승강장 7-1에서 타서 내려야 해. 6미터만 가면 왼쪽에 엘리베이터가 있으니 타고. 내린 다음에 왼쪽 환승통로를 따라 115미터를 더 가야 해. 환승게이트를 통과해서 오후 1시 방향으로 26미터를 더 가고.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 신분당선 승강장이 나오면 2-1에서 다시 타고."

지난해 카카오의 '모두가 이동할 지도' 캠페인에서 딸 지민양과 함께 사진 찍은 홍윤희 협동조합 무의 이사장. 그가 딸을 위해, 딸과 같은 교통약자들을 위해 직접 지도를 만든 사람이다./사진=홍윤희 협동조합 무의 이사장 제공

그 지하철 지도는 엄마가 딸을 위해 직접 만든 거였다.

정확하게는 딸과 같은 장애인들을 위해, 헤매기 쉬운 교통 약자들을 위하여.

태어났을 때부터 하반신 마비…대중교통 좋아하던 지민이
파리에 여행 갔을 때, 윤희씨와 지민양이 함께 찍은 사진. 바라는 건 애쓰지 않고도 수월히 이동할 수 있는 평범한 환경이다. 그게 너무 어렵고 변화가 더디다./사진=홍윤희 협동조합 무의 이사장 제공
딸 이름은 지민. 태어나자마자 척추에 이 있었다. 수술하고, 항암 치료를 14번 받고, 방사선 치료를 10번 받았다. 힘든 고비를 넘겼다. 그리 올해 18살 고등학생이 됐다.

병 치료로 인해 후유증이 남았다. 하반신이 마비돼 지체장애인이 됐다.

휠체어로 쌩쌩 달리는 걸 좋아하던 아이. 지민양은 자동차보단 지하철과 버스 같은 대중교통 타는 걸 좋아했다. 역 이름을 중얼거리며 한글을 배웠을 정도였다.

그러나 엄마 홍윤희씨(51)는 세상이 다르단 걸 깨닫기 시작했다. 지민이가 휠체어를 타면서부터. 지하철 환승처럼 평범하던 일이, 지민양에겐 너무 힘들다는 것.

휠체어를 타고 지하철을 탑승해 이동 중인 지민양./사진=홍윤희 협동조합 무의 이사장 제공

불편하단 걸 느꼈던 게 2011년이었다. 고속터미널역으로 출근하는데, 휠체어 리프트가 고장난 걸 봤다.

"언제 고쳐지냐고 전화했었어요. 어느쪽에 있으시냐 묻는 거예요. 왜 그러느냐 물었더니, 위쪽과 아래쪽이 지하철 관리하는 업체가 다르단 거예요. 환승 구간 안내가 잘 안 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구나 생각했지요."

'지민이와 함께였다면 어땠을까. 계단조차 못 오르지 않았을까.' 목소릴 내야겠단 생각이 들었다.

그리 윤희씨는 2016년에 협동조합 '무의'를 만들었다. 장애인 이동권이 개선될 수 있게, 컨텐츠를 만드는 게 주된 역할이다. 예컨대, 딸과 함께 지하철을 맘 편히 타고 싶었을 뿐인데, 어디로 가면 좀 더 편히 갈아탈 수 있는지 몰랐다. 모르니 헤매었다. 그 누구도 알려주지 않았다.
지하철을 탈 때도 지도가 있음 좋을 것 같았다. 그 어디에도 없어서 직접 만들기 시작했다. 휠체어를 타는 지체장애인, 유아차를 이용하는 엄마 등을 위한 '교통약자 환승지도'를.

휠체어를 위한, 서울 지하철 80개역 지도 만들어…지난해 27개역 추가
지하철 교통약자 환승지도를 함께 만든 이들. 2018년 SK그룹 사회공헌 담당자들과 함께. /사진=협동조합 무의 제공
시민들과 자원봉사자 200여명과 함께 지하철 곳곳을 직접 다녔다. 2017년엔 유동 인구가 많은 지하철역 18곳의 환승 지도를 마침내 만들었다.

그걸 시작으로 '환승 지도'를 볼 수 있는 서울 지하철역이 80개역으로 늘었다. 지난해엔 티머니복지재단 지원으로 27개역이 새롭게 추가됐다. 올해도 환승 지도를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휠체어를 이용하는 이들에게 지도는 어떤 의미일까. 지도를 만드는데 직접 참여한 임슬기씨. 슬기씨는 뇌병변 장애인으로 전동휠체어를 타고 다닌다. 그는 이리 대답했다.

지하철 교통약자 환승지도를 함께 만든 한양대학교 학생들./사진=홍윤희 협동조합 무의 이사장 제공

"길게는 수십분씩 기다립니다. 엘리베이터를 타기 위해서요. 사람이 많으면 안내가 잘 보이지 않아 불편해요. 휠체어 이용 승객뿐 아니라 유아차 이용자 등 다양한 교통약자가 '무의 환승 지도'를 보며 외출하는 데 도움받길 바랍니다."

환승 지도를 쓰는 이들에게 좋은 피드백도 많이 받았다. 윤희씨가 말했다.

"작년에 한 분이 그러시더라고요. '29년 동안 휠체어를 탔어요. 혼자 지하철 타고 출퇴근할 생각을 못했는데, 지도 보며 홀로 출퇴근할 용기가 났다고요. 지하철 지도 만들 때 참여했던 한양대학교 장애 당사자는 또 그랬어요. 지하철을 스물 한 살까지 2~3번 밖에 안 타봤다고요."

지하철 지도의 힘이 단순한 게 아니란 걸 알았다. 단지 현장에서 보고 찾아가는 것 이상이었다. 휠체어를 탄 장애인들에겐 헤매고 돌아갈까 두려운 지하철. 타러 가기 전에 마음의 준비를, 용기를 채울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이었다.

언젠가, 이 지도마저 '무의미'해질 수 있도록
파리 몽마르뜨에 함께 여행간 엄마와 딸. /사진=홍윤희 협동조합 무의 이사장 제공
하루는 지민양이, 친구와 함께 지하철역에 있는 아이돌 스타 광고를 보러 다니겠다고 했다. 윤희씨가 걱정했다. 고생하면 어쩌나, 휠체어 바퀴가 끼면 또 어떡하나. 그랬더니 딸이 이리 말했다.

"걱정하지마 엄마, 엄마가 만들어준 지도가 있잖아."

윤희씨는 그 말에 크게 고무되었다고 했다.

지하철 환승 지도뿐 아니라, 시민이 함께 참여하는 방식으로 교통약자를 위한 프로젝트를 하고 있다. 4대문 안을 휠체어로 소풍다니기, 궁 지도, 대학로 완전 정복(휠체어 접근 가능 식당, 카페, 편의점, 화장실) 등이다.

"제 딸이 사회에 나오기 전에 세상을 좀 바꿨으면 좋겠다 시작했어요. 인식은 많이 나아지긴 했지만, 물리적인 건 바뀐 게 많이 없고 갈 길이 멉니다." 딸에 대한 염려로 오늘도 무언가 바꾸어내기 위해 힘쓰는 홍윤희 협동조합 무의 이사장의 말이었다./사진=홍윤희 협동조합 무의 이사장 제공

휠체어를 위한 '환승 지도'를 만들며 윤희씨가 알게된 사실도 있었단다. 지난해 조사한 지하철역 27개를 기준으로 살펴보니, 장애인의 평균 환승 시간은 평균 11분. 휠체어를 안 타는 비장애인 평균 환승 시간(3.3분) 대비 3배 이상 더 걸린단 걸 알았다. 까치산역 같은 경우는 9배까지 차이 난다고.

갈 길이 멀다. 세 가지가 해결돼야 한단다. 첫째는 엘리베이터 설치 등 물리적인 환경 변화. 둘째는 현장에서 수월히 다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내. 셋째는 인식. 엘리베이터 하나 타는 데에도, 새치기 등 때문에 수십 분씩 기다리는 것.

이 지도조차 필요 없을 정도로, 장애인들이 다니는 환경이 나아지기를./사진=협동조합 무의 홈페이지 '환승 지도' 화면

"궁극적으로는 이 지도 자체가 '무의미'해지길 바래요."

윤희씨는 역설적이게도 향후 바라는 목표에 대해 이리 대답했다. 자신이 만든 지도마저 필요 없길 바라는, 엄마의 진심.

그때 협동조합 이름이 왜 '무의'인지 알 수 있었다.

서울 지하철 교통약자 환승지도엔 80개 역의 정보가 담겼다. 직접 발품을 팔며 만든 것. 협동조합 무의를 검색해 홈페이지로 들어와, 메뉴에서 '서울지하철 교통약자 환승지도'를 눌러 역명을 검색하면 된다./사진=협동조합 무의 홈페이지

※ 서울 지하철 교통약자를 위한 '환승 지도'는 협동조합 무의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남형도 기자 human@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