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블링컨 10개월 만에 회동… 習 “미-중, 파트너 돼야”

김철중 기자 2024. 4. 26. 20: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과 미국은 라이벌이 아닌 파트너가 되어야 한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26일(현지 시간) 중국을 방문 중인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을 만났다.

다만 미국이 중국의 발전을 막지 않아야 협력이 가능하다는 점도 거론했다.

이어 "세계는 중국과 미국이 함께 발전할 수 있을 만큼 넓고 중국은 미국의 번영을 원한다"며 "미국 역시 중국의 발전을 긍정적 바라보기를 희망하고, 이 첫 단추가 잘 끼워져야만 양국 관계가 앞으로 나가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과 미국은 라이벌이 아닌 파트너가 되어야 한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26일(현지 시간) 중국을 방문 중인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을 만났다. 시 주석은 이 자리에서 패권 갈등 중인 미국과의 관계를 개선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다만 미국이 중국의 발전을 막지 않아야 협력이 가능하다는 점도 거론했다.

26일 관영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시 주석은 이날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블링컨 장관을 만나 “올해는 양국 수교 45주년이 되는 해”라며 “서로 해치지 않고, 상호 성공을 위해 양국의 차이점을 존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세계는 중국과 미국이 함께 발전할 수 있을 만큼 넓고 중국은 미국의 번영을 원한다”며 “미국 역시 중국의 발전을 긍정적 바라보기를 희망하고, 이 첫 단추가 잘 끼워져야만 양국 관계가 앞으로 나가갈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다만 그는 “지난 몇 달 동안 다양한 분야에서 소통을 유지하며 긍정적인 진전을 이루었지만,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이 남아 있다”고 덧붙였다.

두 사람의 만남은 지난해 6월 블링컨 장관의 첫 베이징 방문 이후 10개월 만이다. 최근 미 의회는 중국 소셜미디어 틱톡을 미 시장에서 퇴출시키기 위한 ‘틱톡 강제 매각법’을 가결하고, 조 바이든 미 대통령 또한 중국산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를 3배 높이라고 지시했다. 미국과 유럽연합(EU) 또한 중국의 과잉 생산에 따른 헐값 수출을 문제삼는 상황이어서 어느 때보다 많은 관심을 받았다. 11월 미 대선에서 재선을 노리는 바이든 대통령, 경제 둔화와 장기 집권에 대한 비판에 시달리는 시 주석 모두 더 이상의 충돌을 막고 양국 관계를 관리할 필요성을 느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중국 당국이 공개한 사진을 보면 시 주석은 지난해 회동과 마찬가지로 이날 회의를 블링컨 장관의 상석에 앉았다. 시 주석이 테이블 중간의 상석에 앉고 블링컨 장관은 시 주석을 기준으로 오른쪽 테이블, 블링컨 장관의 맞은 편에 왕이(王毅)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이 앉았다.

블링컨 장관은 이날 시 주석을 만나기 전 왕이(王毅) 외교부장과도 만났다. 왕 부장은 특히 대만 문제는 결코 넘어서는 안 되는 레드라인이라며 점을 “어떤 방식으로든 대만 분리 독립 세력에 잘못된 신호를 보내지 말라”고 주장했다. 그러자 블링컨 장관 또한 중국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를 계속 지원하는 것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는 등 양국의 팽팽한 시각 차를 드러냈다.

김철중 기자 tnf@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