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하 쇼크'의 교훈, 준비 방법 바꾸지 않으면 올림픽 또 못갈 수 있다

박찬준 2024. 4. 26. 13:1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포츠조선 박찬준 기자]바뀐 세상에 적응하지 못하면, 올림픽행은 또 다시 좌절될 수 있다.

황선홍 감독(56)이 이끄는 대한민국 23세 이하(U-23) 축구대표팀은 26일 오전 2시30분(이하 한국시각) 카타르 도하의 압둘라 빈 칼리파 스타디움에서 신태용 감독(54)이 지휘하는 인도네시아와의 2024년 아시아축구연맹(AFC) U-23 아시안컵 8강전에서 승부차기 끝에 패했다. 숫적 열세에도 120분을 2대2로 마친 한국은 승부차기에서 10-11로 무릎을 꿇었다. 이전까지 9회 연속 올림픽행에 성공했던 한국축구는 세계 최초로 10회 연속 올림픽 출전을 노렸지만, '복병' 인도네시아에 덜미를 잡혔다.

한국은 조별리그 최종전서 '숙적' 일본을 1대0으로 꺾고 B조 1위에 오르며, '황새 대 여우'라는 특별한 대진표가 완성됐다. 인도네시아는 첫 경기서 '개최국' 카타르에 0대2로 패했지만, 만만치 않은 호주와 요르단을 완파하며 A조 2위로 깜짝 8강행에 성공했다. 인도네시아가 이 대회 8강에 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인도네시아의 기세가 좋았다고는 하나, 한국 쪽으로 기울어 보이는 승부였다. 역대 전적에서 5전승으로 앞섰던데다, 한-일전 로테이션을 통해 체력을 아끼고 분위기까지 끌어올렸다. 객관적 전력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결과는 졸전 끝에 패배였다. 어쩌다 한방에 무너진 것이 아니라, 시종 끌려다는 끝에 당한 패배라 충격은 더욱 컸다. 사실 이번 대회 내내 황선홍호는 제대로 된 경기력을 보이지 못했다. 아랍에미리트(UAE)와의 1차전에서는 무한 크로스를 반복하다 추가시간 이영준(김천)의 골로 가까스로 승리했고, 중국와의 2차전에서는 결정적 찬스를 여러차례 허용하며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다행히 수비 집중력을 잃지 않고, 역습 두방으로 승리를 챙겼다. 한-일전에서 그나마 조직력을 올리는 듯 했지만, 인도네시아전에서 그간 숨겼던 문제를 모두 노출하며 참패를 당했다.

예견된 부진이었다. 황선홍호는 3년간 항해를 했지만, 장기적인 비전과 계획은 없었다. 2021년 10월 출항한 황선홍호는 당시 23세 선수로 2022년 AFC U-23 아시안컵을 소화했다. 파리올림픽 본선에 나서는 선수들도, 항저우아시안게임에 나서는 선수도 아닌 애매한 선수 구성이었다. 설상가상으로 8강에 머물며 망신을 당했다. 이 대회 이후에야 본격적으로 이번 아시안컵에 나선 2001~2002년생들 중심으로 준비가 되기 시작했다. 그나마도 항저우아시안게임 때문에 반쪽짜리 준비를 할 수 밖에 없었다. 사실상 현재 멤버로는 2023년 말에야 본격적인 준비를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장기 계획으로 움직인 일본, 우즈베키스탄, 인도네시아 등과는 전혀 다른 행보였다.

설상가상으로 베스트 멤버를 꾸리지도 못했다. A대표팀처럼 올림픽대표팀 역시 유럽파가 팀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이번 대회는 국제축구연맹(FIFA)가 정한 공식 A매치 데이가 아니라 차출이 쉽지 않았다. 결국 황 감독은 팀의 중심으로 삼은 고영준(세르비야) 권혁규(세인트미렌) 양현준(셀틱) 김지수(브렌트포드) 배준호(스토크시티) 등을 부르지도 못하고, 새롭게 판을 짜야했다. 조위제(부산) 오재혁(성남) 등까지 다치며, 플랜B도 아닌 플랜C로 올림픽 티켓을 노려야 했다. K리그의 U-22 룰로 낯익은 선수는 많았지만, 정작 경기를 풀어줄 중앙 미드필더, 센터백 자리에는 쓸만한 선수가 없었다. 준비도 아쉬웠는데, 선수들 기량도 기대이하다보니 좋은 축구를 할 수 없었다. 더욱이 동남아팀마저 수준이 올라올 정도로 아시아 무대는 호락호락하지 않다.

결국 시스템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대로라면 올림픽행은 쉽지 않다. 월드컵은 그나마 출전티켓수가 많다. 올림픽은 앞으로도 3장에서 4장 정도다. 지금까지 숱한 위기를 넘기며, 올림픽에 나섰지만, 지금 상황은 완전히 다르다. 좋은 선수들의 유럽행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최정예 멤버를 꾸리기도 힘든 상황에서, 미리미리 팀으로 준비하지 않으면, 참사는 또 반복될 수 있다. 확실한 상비군 체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아시안게임과 올림픽대표팀을 일원화해 동메달 신화를 쓴 2012년 런던올림픽 당시가 좋은 예다. 젊은 선수들의 조기 상무 지원으로 군문제에 대한 고민이 점점 사라지는만큼, 더이상 군면제 원포인트의 아시안게임 대표팀 운영은 큰 의미가 없다. 핵심은 올림픽이다. 저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축구를 경험할 수 있는 무대는 올림픽 뿐이다. 이를 바탕으로 황금세대를 만들 계획을 짜야한다.

하지만 지금 같은 방향으로는 힘들다. 오랜 준비로 풀을 늘리고, 팀으로 움직이지 않으면, 앞으로 올림픽행은 힘들어질 수 있다.

박찬준 기자 vanbasten@sportschosun.com

Copyright © 스포츠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