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근의 파란 코끼리] 끝나지 않는 ‘괴뢰’의 시대

2024. 4. 26. 05: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가끔씩 SNS는 '어휘력 부족'의 세태 질타로 뜨거워진다.

'심심한 사과를 전한다'는 말을 듣고 사과에 성의가 없다며 화를 냈다는 사람, '금일까지 제출하라'는 리포트를 '금요일까지 내라는 줄 알았다'며 항의했다는 대학생의 이야기를 들으면 헛웃음이 나기도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가끔씩 SNS는 ‘어휘력 부족’의 세태 질타로 뜨거워진다. ‘심심한 사과를 전한다’는 말을 듣고 사과에 성의가 없다며 화를 냈다는 사람, ‘금일까지 제출하라’는 리포트를 ‘금요일까지 내라는 줄 알았다’며 항의했다는 대학생의 이야기를 들으면 헛웃음이 나기도 한다.

이런 소동의 원인은 뭘까. 독서 부족과 어휘력, 문해력 문제를 꼽을 수도 있겠지만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지 않을까. 이 또한 단어의 사용 빈도 변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사실 ‘심심한 사과’는 ‘깊은 사과’로, ‘금일까지’는 ‘오늘까지’로 쓰면 그만이다. 세상이 변함에 따라 어떤 단어는 덜 사용되며 잊혀지고, 새로운 세태에 맞는 다른 단어들이 그 빈자리를 메우는 것이다.

사라지는 단어들은 변화하는 세태를 그리기도 한다. 기성세대에게는 익숙한 ‘괴뢰’라는 말을 청소년들은 얼마나 자주 쓸까? 아니, 알고는 있을까? 원래는 그저 ‘꼭두각시 인형’을 뜻하는 단어였던 괴뢰는 남북이 분단되고 서로 적대하게 되면서 상대를 비난하는 부정적 뉘앙스를 갖게 됐다. 북은 남을 ‘미제의 괴뢰’라 불렀고, 남은 북을 ‘북괴’ 즉 북한 괴뢰라 부르며 오랫동안 상대를 자주성 없는 꼭두각시라고 비난했다.

많은 단어 중에 남북이 굳이 ‘괴뢰’라는 말로 서로를 비난했을 만큼 ‘자기 생각 없이 남 시키는 대로 한다’는 것은 썩 바람직한 일이 아니다. 영혼 없는 꼭두각시에 대한 이야기는 동서고금에 가득하다. 유대교 전설에서 비롯한 골렘을 필두로, 세르비아 소설가 밀로라드 파비치의 소설 ‘하자르 사전’에는 페트쿠틴이라는, 키르기스스탄 소설가 친기스 아이트마토프의 소설 ‘백년보다 긴 하루’에는 만쿠르트라는 꼭두각시가 나온다. 아이티의 부두교가 기원인 좀비는 아예 지구적인 이야기가 돼 우리나라 영화의 소재로도 곧잘 쓰인다.

괴뢰, 골렘, 페트쿠틴, 만쿠르트, 좀비의 공통점은 ‘영혼이 없다’는 것이다. 그들은 누군가에 의해서 영혼을 잃고, 남들이 시키는 대로 꼭두각시로 산다. 이런 서사가 우리의 관심을 끄는 이유는 뭘까. 실제 우리의 삶에서 그 ‘영혼 없는 삶’을 연상하게 하는 일이 반복해서 관찰되기 때문일 것이다. ‘거수기’라 불리며 권력에 기생하던 독재 시절의 국회나 교주를 맹신하며 추종하는 사이비 종교의 신도들이 좋은 예다.

몇 년 전 유튜브에는 ‘소울리스좌’라는 대박 동영상이 떴다. 놀이공원의 근무자가 빠른 음악에 맞춰 경쾌하게 놀이기구 탑승 안내를 하는데, 그에 대비되어 무표정하기 그지없는 모습이 마치 ‘영혼이 없다, 소울리스, soulless’인 것으로 보인 게 웃음 포인트였다. 마치 직장에서 영혼 없이 일하는 자신들의 모습을 떠올리고 공감했던 것은 아닐까.

젊은 세대는 괴뢰란 말은 몰라도 소울리스는 단번에 알아들을 것이다. 시대가 변함에 따라 새로운 단어 소울리스가 옛 단어 괴뢰를 대체하고 있다. 두 단어가 표현하는 ‘영혼 없음’은 사실 같은 맥락이다. 우리는 과거엔 괴뢰로, 이제는 소울리스로 영혼 없이 살고 있는 것 같아 조금 슬프다.

이효근 정신과의사

이효근 정신과의사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