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리퍼 쿠팡선 1만원, 알리 2천원인 이유 이것 때문이었나”…中은 ‘무풍’ 韓은 ‘태풍’

최재원 기자(himiso4@mk.co.kr) 2024. 4. 25. 21:3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커머스 ‘파상공세’
국내 제조·공식 수입 제품
중국직구와 가격경쟁 안돼
유통시장 패권 中에 넘어가면
韓중기 제조 생태계 붕괴 우려
RC(리모트콘트롤) 모형 자동차. 왼쪽은 네이버, 오른쪽은 테무.
“한국에서 1만원에 파는 실내용 슬리퍼를 알리에선 2000원에 팝니다. 한국에서 만든 신발에 비해 알리에서 내놓은 신발은 70~80% 가량 저렴합니다. 이대로라면 웬만한 소상공인들은 ‘줄폐업’ 위기에요.”

20년 째 부산에서 신발 제조·수입업체를 운영하는 대표 A씨는 요즘 밤잠을 설친다. 최근 중국 E커머스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의 국내 사용자가 각각 800만명을 넘는 등 무서운 속도로 온라인 유통시장을 잠식하면서, 더 이상 손 쓸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그는 “대부분 신발 업체들의 매출이 20~30% 이상 줄었다”면서 “신발업에 뛰어든 지 20년 만에 최대 위기”라고 말했다.

국내 소비자들의 알리·테무 등 C커머스 이용이 빠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패션·잡화·가전·공산품 등 초저가 상품을 팔아온 국내 소상공인들이 직격탄을 맞았다. 알리나 테무가 판매하는 제품 대부분은 1천원부터 1만원 이하의 저가 상품들이다. 품목당 가격이 5000원 이하로 생활용품점 다이소에 납품하거나 쿠팡·네이버 등 온라인 유통채널을 통해 1만원대 전후 물건을 팔아온 셀러들은 생존 위기에 내몰린 상황이다.

중국 등 해외에서 수입을 하는 소상공인들은 통관비용·관세·물류비 등을 감안하면 제품 가격이 중국 직구에 비해 2~3배 이상 비싸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국내의 높은 인건비 등을 감안할 때 1만~2만원대 저가 품목에서는 알리와 비슷한 품질의 ‘메이드 인 코리아’ 제품을 만드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실내용 슬리퍼. 왼쪽은 쿠팡, 오른쪽은 알리익스프레스.
25일 매일경제신문이 주요 5개 공산품을 대상으로 알리·테무 등 중국 e커머스와 쿠팡·네이버·G마켓 등 한국 e커머스의 판매 가격을 비교한 결과, 한국 e커머스의 판매가격이 중국 e커머스 대비 3.5배 수준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난감 RC카의 경우 동일 제품이 한국의 네이버 스토어에선 배송료 포함 3만9900원이지만, 테무에선 3분의 1 수준인 1만2750원에 판매중이다. 더블헤드 스탠드 조명은 알리에선 9730원이지만, 유사 제품이 G마켓에선 3만5780원에 판매되고 있다. 휴대폰 젤리 케이스와 자동차 방석도 마찬가지다. 층간소음 방지용 실내 슬리퍼의 경우 동일 제품이 알리에선 1800원, 쿠팡에선 9950원으로 5배 이상 차이가 났다.

이처럼 가격 차이가 나는 이유는 세금과 인증·부담금 등 복잡한 규제 때문이다. 국내 판매자들은 중국에서 똑같은 물건을 수입할 때 통상 8% 안팎의 관세와 부가세 10%를 내고, 화장품이나 유아용품 등은 품질을 보증하는 ‘KC(Korea Certification)’ 인증을 받는 데 비용이 최소 100만원 이상 든다. 전자 제품은 전자파 인증,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제품의 경우 플라스틱 폐기물 부담금도 납부해야 한다. 이런 비용들을 합하면 품목당 비용이 최대 500만원 가량 들어간다. 해당 품목의 판매 물량이 1000개일 경우 개당 5000원의 비용 증가 요인이 되는 셈이다.

국내 한 완구 수입회사가 받은 KC인증. KC인증에는 품목당 수백만원의 비용이 소요된다.
반면 직구 거래는 하루 150달러까지 무관세인데다가, KC인증도 받지 않고 폐기물 부담금 등도 내지 않아도 된다. 또한 중국은 아직 국제우편요금 체계상 개발도상국으로 분류돼 몇천원 짜리 물건도 매우 낮은 비용으로 해외 배송이 가능하다. 단돈 1000~2000원 짜리 제품도 무료 배송이 가능한 이유다. 업계 한 관계자는 “해외 직구로 아무리 국내에서 많이 팔려도 알리·테무나 중국 제조사들은 우리나라에 세금 한푼 내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국내 제조·유통사들은 △상품 품질 및 안전(식품의약품안전처·국가기술표준원·한국소비자원), △불공정거래(공정거래위원회),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 보호(중소벤처기업부) 등 사안별로 다양한 정부 기관에서 규제를 받는다. 하지만 해외직구 업체들은 이런 규제에서 비켜나 있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한국에서 제조하는 물건은 말할 것도 없고, 중국산 제품을 수입해 판매하는 경우에도 중국에서 직접 날아오는 직구와는 가격 경쟁이 도저히 안된다”면서 “기울어진 운동장이 문제”라고 말했다.

현재 국내 이커머스 1위 쿠팡의 경우 대부분 물건을 국내 중소기업으로부터 직매입해 판매한다. 반면 알리와 테무에서 판매하는 초저가 제품들은 대부분 중국 현지 공장에서 만든 제품들이다. 한국 이커머스 시장의 주도권이 중국 업체들에 넘어가면 비단 국내 유통기업의 생존 뿐만 아니라, 중소 제조 생태계까지 함께 무너질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정연승 단국대 교수는 “온라인 유통의 주도권을 내주면 중장기적으로 제조와 물류, 서비스 산업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소상공인들은 중국 앱이 한국 시장을 완전히 장악하기 전에 한국 정부의 발빠른 조치가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중국 직구에 대한 동등한 규제가 어렵다면 국내 기업들에 대한 과도한 규제라도 완화해달라는 게 이들의 목소리다. 플라스틱 수입업자가 부담해야 하는 플라스틱 폐기물 부담금 규제가 대표적이다. 신발업체 대표 A씨는 “플라스틱 성분으로 만든 슬리퍼 100족을 수입할 경우 연간 200만~300만원을 부담금으로 내야 한다”면서 “이런 조건으로 중국 직구와 경쟁하라면 문 닫으라는 얘기나 다름 없다”고 말했다.

스마트 컨슈머가 꼭 알아야 할 알짜 소비 정보, 유통 산업의 최신 트렌드를 쉽고 정확하게 전해드립니다. 아래 기자페이지 ‘+구독’을 누르시면 놓치지 않고 읽으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