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22대 국회의장 후보들 너도나도 ‘강성 발언’

김재민 기자 2024. 4. 25. 18:20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정식 “단호할 때는 단호해야”… 정성호 “합의 못하면 다수결”
추미애 “기계적 중립 안돼”… 우원식 “총선 민심 尹정권 회초리”
더불어민주당 조정식 의원(시흥을),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당선인(하남갑).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소속 차기 국회의장 후보군이 ‘강성 발언’ 경쟁을 벌이고 있다.

22대 총선을 통해 최다선인 6선에 성공한 조정식 의원(시흥을)과 추미애 당선인(하남갑)을 비롯, 5선에 오른 정성호(동두천·양주·연천갑)·우원식 의원(서울 노원갑) 등이 경선을 의식해 강성 발언을 이어가자 당 안팎에서 비판도 제기된다.

조정식 의원은 25일 오후 연합뉴스TV ‘뉴스1번지’에 나와 “중립이라고 해서 “무색무취하고 ‘좋은 게 좋은 것이다’ 하는 이런 식의 국회의장은 이제 아니다”라며 “단호할 때는 단호하고 결론을 내는 국회의장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정성호 의원(동두천·양주·연천갑). 연합뉴스

친명(친이재명)계 좌장인 정성호 의원도 이날 오전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 국회의장 역할과 관련해 “(여야 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을 때는 민주주의 원리인 다수결의 원리에 따라서 다수당의 주장대로 갈 수밖에 없는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그는 “(합의까지) 못 가게 됐을 때는 국회의장이 결단을 내려야 되는 것 아니겠느냐”며 “그런 의미에서 협의만 강조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앞서 추미애 당선인은 전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국회의장은 기계적 중립이 아니라 초당적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민주당 출신 국회의장 시절 갑자기 쭉 옳은 방향으로 갈 듯 폼은 다 재다가 갑자기 기어를 중립으로 넣어버리고 멈춰 죽도 밥도 아닌, 다 된 밥에 코를 빠뜨리는 우를 범한 전례가 있다”고 주장했다.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의원. 연합뉴스

우원식 의원도 이날 블로그 등에 출마선언문을 올리고 “국회법이 규정한 중립의 협소함도 넘어서겠다”며 “국민과 함께 8석 부족을 넘어서겠다. 총선 민심은 범야권 192석으로 윤석열 정권에 매섭게 회초리를 들었지만, 개헌선(200석)까지 의석을 주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이처럼 국회의장 후보군의 강성 발언이 이어지자 같은 당 박지원 당선인은 “나는 민주당에서 나왔으니까 민주당 편만 든다는 것은 정치가 아니다”라고 질타하며 “국회의장 관례가 중립성이라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 정치”라고 지적했다.

4선에 오른 국민의힘 이종배 의원도 페이스북을 통해 “22대 국회가 개원하기도 전부터 국회의장의 중립 의무를 부정하고 있음은 물론, ‘찐명 경쟁’도 서슴지 않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입법부의 수장이 되려는 국회의장 후보라면, 여야 협치 방안에 대해 고민하고, 국정운영의 비전을 제시해야 하는 것이 옳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김재민 기자 jmkim@kyeonggi.com
김영호 기자 ho3920@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