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임, AI로 극복"…튼튼 배아 찾을 확률 20% 높여

2024. 4. 24. 19:5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앵커멘트 】 저출산 문제는 아이를 안 가지려는 사회적 분위기에 더해 아이를 갖기 어려운 난임도 주요한 이유로 꼽히고 있죠. 벤처기업들이 AI 기술과 참신한 아이디어를 앞세워 난임 해결에 팔을 걷어붙였습니다. 박통일 기자입니다.

【 기자 】 결혼 4년차인 정 모 씨의 가장 큰 고민은 출산입니다.

▶ 인터뷰 : 정 모 씨 / 직장인 - "주변에 난임인 친구들도 있어서 저 또한 그런 케이스일 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고민도 있었고…."

병원을 찾기엔 시간과 비용이 부담스러운 정 씨는 난소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는 키트를 이용하기로 했습니다.

정 씨가 직접 채취한 혈액은 의료기관으로 보내지고, 검사를 거쳐 난소 나이라고 불리는 AMH 수치가 측정됩니다.

이틀 뒤면 스마트폰 앱을 통해 난소 기능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인터뷰 : 박현태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 교수 - "난소 안에 있는 난자의 개수를 대변해 주는 지표거든요. 수치가 평균 이하로 너무 낮다면 빨리 조치를 취하는 귀중한 정보가 될 수 있겠죠."

현미경으로 촬영한 배아 사진을 AI 프로그램에 올리자 곧바로 배아의 점수가 매겨집니다.

점수가 높을수록 우수한 배아라는 의미로 자궁에 이식했을 때 임신 가능성이 커집니다.

실제 AI가 판별한 가임 배아의 정확도는 육안보다 20%P 이상 유의미하게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 인터뷰 : 이혜준 / 난임 AI솔루션 대표·산부인과 전문의 - "랭킹을 매기는 용도로 쓴다고 생각하면 될 거 같아요. 이게 8점이고 이게 4점이면 8점인 배아가 임신 가능성이 좀 더 높다고 생각하고 그 배아를 이식하는 거죠."

국내 난임 환자 14만 명 시대, 기술의 발전이 아기를 절실히 원하는 난임 부부에게 새로운 실마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MBN뉴스 박통일입니다.

영상취재 : 김원 기자·현기혁 VJ 영상편집 : 송지영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