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9 선언 산파' 노재봉 前 국무총리 별세

이소현 2024. 4. 24. 18: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노태우 정부 시절 국무총리와 청와대 비서실장을 지낸 노재봉 전 총리가 별세했다.

24일 노 전 총리 지인 측에 따르면 고인은 전날 밤 서울성모병원에서 세상을 떠났다.

노 전 총리는 서울대 정치학과 졸업 후 미국 뉴욕대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은 국제정치학자다.

노태우 전 대통령과의 인연은 1987년 시작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태우 정권서 '북방 정책' 등 관여

노태우 정부 시절 국무총리와 청와대 비서실장을 지낸 노재봉 전 총리가 별세했다. 향년 88세.

24일 노 전 총리 지인 측에 따르면 고인은 전날 밤 서울성모병원에서 세상을 떠났다. 고인은 1년 전부터 혈액암으로 투병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노 전 총리는 서울대 정치학과 졸업 후 미국 뉴욕대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은 국제정치학자다. 미국 암스트롱주립대 조교수를 거쳐 서울대에서 후학을 양성했다.

노태우 전 대통령과의 인연은 1987년 시작됐다. 당시 민정당 대표로 활동하던 노 전 대통령의 자문역을 맡아 직선제 개헌 요구를 받아들인 ‘6·29 선언’ 작성에 관여했다. 대통령 정치담당 특별보좌관으로 임명돼 노 대통령을 보좌하던 중 1990년 대통령 비서실장에 올랐다. 소련 등 공산권 국가들과 잇달아 수교하는 ‘북방 정책’에 깊이 관여하기도 했다.

고인은 1991년 22대 총리에 취임했지만 명지대 학생 강경대 씨가 시위 진압 중 무차별 폭행으로 목숨을 잃으면서 4개월 만인 같은 해 5월 사의를 밝히고 물러났다. 이후 14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민주자유당에서 당무위원과 고문으로 활동했다. 명지대 교양교수와 서울디지털대 총장을 맡기도 했다.

정계 은퇴 이후에는 제자 그룹 및 시민사회 활동가들과의 모임을 주도하며 보수 원로 역할을 했다. 저서로 2015년 <정치학적 대화>, 2018년 <한국 자유민주주의와 그 적들> 등을 남겼다. 빈소는 서울성모병원 장례식장, 발인은 27일 오전이다.

이소현 기자 y2eonlee@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