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오른 인천·제주·경주 ‘APEC 유치전’…각 도시의 유치 전략은?

이승욱 기자 2024. 4. 23. 22: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내년 11월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아펙) 정상회의 유치전의 막이 올랐다.

현재 정상회의 유치전에 뛰어든 도시는 인천, 제주, 경북 경주 등 3곳으로 파악돼 이들의 뜨거운 경쟁이 예상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정복 인천시장이 지난해 8월10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5 아펙(APEC) 정상회의 인천유치 합동지지선언식’에서 황규철 인천사랑운동시민협의회장 등 참석자들과 아펙 유치를 기원하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인천시 제공

내년 11월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아펙) 정상회의 유치전의 막이 올랐다.

외교부는 23일 “정상회의 유치 희망 도시를 상대로 지난 22일까지 관련 서류를 받아 검토에 들어갔다. 유치 목적과 기본계획의 우수성, 국제회의에 부합하는 도시 여건, 정상회의 운영 여건, 국가 및 지역 발전 기여도 등 4개 선정 기준에 맞춰 심사를 진행한 뒤, 5월 중 현장 실사를 마치고 6월 중 유치 도시를 결정한다”고 밝혔다.

현재 정상회의 유치전에 뛰어든 도시는 인천, 제주, 경북 경주 등 3곳으로 파악돼 이들의 뜨거운 경쟁이 예상된다.

우선, 인천시는 이번 정상회의 3대 목표인 ‘무역 투자’, ‘혁신·디지털 경제’, ‘포용적·지속가능한 성장’을 잘 보여주는 도시가 인천이라고도 주장한다. 국내 최대 규모의 경제자유구역 성장 과정, 바이오 산업 등 인천에 조성된 첨단 산업 클러스터 등을 그 예시로 든다. 인천시는 “다른 회원국이 인천에 와서 첨단 산업과 관련해 교류·협력할 부분이 많고, 우리의 기업을 해외에 진출시키는 데 적합한 도시가 인천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인천시는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 등 접근성도 강점으로 보고 있다. 다만 ‘지역균형발전 논리’가 이번 유치전에서 힘을 발휘한다면 수도권에 속한 인천에는 불리한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오영훈 제주도지사가 지난해 3월14일 제주시 설문대여성문화센터에서 열린 ‘2025 아펙(APEC) 유치 범도민추진위 발족식’에 참석했다. 제주도 제공

제주도는 풍부한 국제행사 주최 경험과 다수의 호텔, 컨벤션센터 등 인프라를 앞세운다. 제주도에는 제주국제컨벤션센터 등 3만5259명을 수용할 수 있는 23개의 회의장이 있다. 또한, 자체 관리하는 ‘웰컴센터’ 등 중소형 회의시설을 포함하면 132개 시설이 있다고 자랑한다. 이와 함께 21개 각국 정상이 묵을 수 있는 프레지덴셜 스위트룸도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15분 내 거리에 21개실 이상이 확보된 상황이다. 제주도 유치팀은 “제주만이 가지고 있는 자연환경 등 제주도가 내세우는 강점도 있다”고 밝혔다.

반면 섬이라는 특성상 교통 접근성은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아울러 경주시는 ‘가장 한국적인 도시’라는 점을 내세우며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경주시는 “주요 7개국(G7) 등 국제 정상회의 개최 도시를 보면 수도권 도시처럼 이름이 알려진 도시보다는 관광·휴양 도시 성격이 강하다”고 주장한다. 또 3개 도시 중 유일한 지역 소도시라는 점, 도심 번화가에서 5㎞ 떨어진 보문관광단지에 숙소와 컨벤션 시설이 집적돼 있어 민간인 통제와 정상 경호에 용이하다는 점을 강점으로 내세운다. 하지만 인천과 제주도보다 5성급 호텔이 부족한 점 등은 경주가 보완해야 할 요소로 지적된다.

주낙영 경주시장이 박몽룡 아펙(APEC)경주유치범시민추진위원장에게서 ‘100만 서명운동’ 서명부를 전달받고 있다. 경주시 제공

아펙은 아시아·태평양 21개국의 경제 성장과 번영을 목표로 만든 국제기구다. 한국에서는 1991년 서울과 2005년 부산 등에서 두차례 회의가 개최됐다. 각 도시는 정상회의 유치로 수조원의 생산 유발 효과와 수천억원의 부가가치 유발 효과, 수천명의 취업 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승욱 기자 seugwookl@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