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첫 '카라얀 콩쿠르' 우승…윤한결, 브람스 교향곡 전곡 지휘

최다은 2024. 4. 23. 18: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요하네스 브람스(1833~1897)는 음악사에서 다채로운 평가를 받는다.

브람스 음악의 정수인 교향곡 전곡을 한 번에 들을 수 있는 무대가 펼쳐진다.

교향곡 3번은 다채로운 화성 진행, 발전된 작곡 기법 등 완연한 브람스의 음악을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

둘째날인 4일(롯데콘서트홀)에는 브람스 음악 중 가장 온화하고 가벼운 교향곡 2번과 그의 마지막 교향곡이자 '인생작'으로 꼽히는 4번을 들려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월 3~4일 한경아르떼필과 연주
첫째날은 예술의전당서 1·3번
둘째날은 롯데콘서트홀 2·4번

요하네스 브람스(1833~1897)는 음악사에서 다채로운 평가를 받는다. 형식과 외관에서는 고전적 전통을 좇던 보수주의자에 가깝지만 음악적으로는 누구보다 혁신적인 인물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그를 ‘고전적 낭만주의자’라고 하는 이유다. 브람스는 오페라나 표제음악 같은 낭만주의적 장르를 작곡하지 않았다. 그는 추상음악의 꽃인 교향곡에 전력을 다했다. 학계에서는 브람스를 베토벤, 말러와 함께 역사상 가장 위대한 교향악 작곡가 중 한 명으로 꼽는다.

브람스 음악의 정수인 교향곡 전곡을 한 번에 들을 수 있는 무대가 펼쳐진다. 다음달 3~4일 이틀간 열리는 한경아르떼필하모닉의 정기 공연에서다. 이번 공연을 특별하게 해주는 사람은 지휘자 윤한결(30·사진)이다. 그는 지난해 8월 세계적 권위의 카라얀국제지휘콩쿠르에서 한국인 최초로 우승을 차지했다.

윤한결이 이끄는 한경아르떼필은 첫날인 3일(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브람스 교향곡 3번과 1번을, 이튿날 2번과 4번을 들려줄 계획이다. 교향곡 3번은 다채로운 화성 진행, 발전된 작곡 기법 등 완연한 브람스의 음악을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 교향곡 1번은 브람스가 14년에 걸쳐 고민에 고민을 거듭한 작품으로 당대 지휘자 한스 폰 뷜로는 ‘베토벤 교향곡 10번’이라고 표현했다. 그만큼 ‘암흑에서 광명으로’와 같은 베토벤적 성격이 강하게 나타난 작품이기도 하다.

둘째날인 4일(롯데콘서트홀)에는 브람스 음악 중 가장 온화하고 가벼운 교향곡 2번과 그의 마지막 교향곡이자 ‘인생작’으로 꼽히는 4번을 들려준다. 2번은 장중하고 규모가 큰 1번과 대조적으로 여유롭고 목가적인 성격의 작품이다. ‘브람스의 전원 교향곡’이라는 별명도 있다. 4번은 중세 교회 음악에서 사용된 선법, 바로크 시대 양식 등을 응용 및 결합해 교향악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 걸작이다.

지휘자 윤한결은 한경아르떼필 공연을 마치고 오는 8월 카라얀콩쿠르 포상으로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페스티벌 데뷔 무대를 가진다. 잘츠부르크페스티벌은 1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클래식 대표 음악제다.

그는 서울예고 재학 중 독일로 건너가 뮌헨국립음대에서 지휘, 작곡, 피아노를 전공했다. 2019년 크슈타트메뉴힌페스티벌에서 최연소로 네메예르비상을 받았다. 2020년 게오르그솔티지휘콩쿠르, 2021년 독일지휘콩쿠르 결선에 오르며 국제무대에서 주목받고 있다.

최다은 기자 max@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