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X 넘어 AX 빅뱅] 카카오, 플랫폼 너머 일상 속 사람·AI 연결 나섰다

전혜인 2024. 4. 22. 20: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생성 '칼로' 응용도 높아
스마트폰 활용 혈당관리 '파스타'
카카오 AI를 활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예시. 카카오 제공
카카오브레인의 이미지 생성 AI '칼로'. 카카오 제공

"연결의 강점을 AI를 통해 극대화하겠다." 카카오가 카카오톡 플랫폼을 중심으로 '서비스-드리븐 AI' 전략 아래 순차적으로 AI를 서비스에 접목하며 사람과 AI를 연결하고 있다. 카카오가 보유한 플랫폼 개발 경험에 최신 기술을 더해 '일상 속 AI' 시대를 주도한다는 목표다.

카카오는 최근 AI 기술과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전사에 흩어져 있던 관련 팀을 모아 AI 통합 조직을 구성했다. 이 조직 산하에는 다양한 생성형 AI 기반 서비스를 실험하는 다수의 조직을 만들어, 빠른 실행과 R&D 역량 강화를 도모한다.

아울러 이상호 전 SKT CTO(최고기술책임자)를 CAIO(최고AI책임자)로 선임했다. 이 CAIO는 SKT AI사업단장, 다음 검색부문장, 네이버 검색품질랩장 등을 역임하며 쌓은 전문성과 경험, 카카오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AI 기술 및 서비스 개발 전반을 이끌게 된다.

카카오는 대표적인 서비스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AI 요약하기' 기능 등 다양한 AI 관련 서비스를 공개하고 있다. 현재 10개 콘텐츠를 주제로 챗봇 PoC(기술실증)를 진행하고 있다.

카카오의 AI 연구개발을 이끄는 카카오브레인은 다양한 파라미터의 자체 언어모델을 보유하고 있다. LLM(거대언어모델)은 방대한 양의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해 다양한 주제에 걸쳐 인간과 유사한 수준의 자연어 이해 및 생성 능력을 갖춘 강력한 AI로 발전했다. LLM은 대규모 자연어 처리를 위해 설계된 모델로, 인간 수준의 언어 이해와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 또한 다양한 과제에 대한 답변 또는 문장을 생성할 수 있으며, 특정 작업이나 도메인에 국한되지 않고 광범위한 주제에 대해 인간과 유사한 수준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카카오브레인은 지속적으로 모델을 개선해 다양한 산업에서 혁신을 도모하고 새로운 기회를 포착한다는 구상이다. LLM뿐 아니라 이미지 생성 모델과 헬스케어 분야에서도 언어와 AI의 경계를 좁히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카카오브레인의 이미지 생성 모델인 '칼로'는 텍스트를 기반으로 고품질의 이미지를 생성하며, 사용자의 얼굴 기반의 이미지 생성, AI 이미지 편집, 언어 모델 기반 프롬프트 자동 생성 등 다양한 응용 기술을 포함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의 응용이 가능하다.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거대 AI 기술을 통해, 치료와 진단 영역에서의 혁신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관련 기술과 서비스 연구 개발을 하고 있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AI 기술력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기반 기술인 클라우드 고도화에 집중하고, 서비스형 인프라(IaaS)를 중심으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서비스형 플랫폼(PaaS) 역량을 키우는 데 집중한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올해 고성능 컴퓨팅(HPC)에 주목하고 있으며, 높은 처리 속도와 성능을 필요로 하는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링, 의료, 블록체인 등의 분야와 더불어 AI, 공공, 금융, 연구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카카오클라우드의 고성능 컴퓨팅 공급사례를 빠르게 확보하고 영역 확장을 모색한다.

카카오헬스케어는 B2B와 B2C 영역 전반에서 서비스 전개를 꾀하고 있다. 최근 대표적인 만성질환 중 하나인 당뇨병에 초점을 맞춰 연속혈당측정기(CGM)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혈당 관리 서비스인 '파스타'를 출시했다.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 등을 바탕으로 미국, 일본, 중동 등 글로벌 진출에도 본격적으로 나선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AI 기술을 활용한 고도화된 CRM(고객관리) 기능인 '헬릭스푸시'를 도입했다. 헬릭스푸시는 개별 유저들의 열람과 구매를 포함한 다양한 이용 행태 데이터를 분석해, 최적의 시점에 고객들에게 맞춤형 작품을 추천해주는 기능이다. 실제로 도입 이후, 이용자들의 플랫폼 잔존율이 높아졌고, 다양한 콘텐츠로 소비가 확산되면서 ARPPU(과금이용자당 평균매출)가 상승하는 효과가 확인됐다.전혜인기자 hye@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