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년 농사 지었지만 생경하네... '조정금' 내라는데, 대체 뭐예요? [최우석 기자의 로이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선 지자체가 조정금을 걷게된 배경을 알아보자.
문제는 대다수 토지 소유주가 조정금의 개념을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
조정금은 분납이 가능하지만 1년 이내에 완납해야 한다.
당혹스런 법률 소비자를 위해 지자체 차원에서 주민들에게 조정금이 어떤 개념인지 적극적으로 미리 알릴 필요가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선 지자체가 조정금을 걷게된 배경을 알아보자. 100여년 전 일제강점기엔 평판과 대나무자로 땅을 측량했다. 이렇게 수기로 만든 종이 지적이 지금까지 그대로 사용됐다. 그러다 보니 실제 사용하는 땅 면적과 공부상 면적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전 국토의 15%에 달하는 면적이 실제현황과 달랐다고 한다. 이에 정부는 지적재조사법을 제정, 전국적으로 지적재조사를 진행중이다. 상당수 지자체들도 지적재조사 사업을 벌이고 있다. 과거에 기록된 면적과 실 사용 면적이 같으면 아무 문제가 없다. 하지만 실 사용 면적이 크거나 작을 경우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도입 된 것이 바로 조정금이다. 토지 사용자가 쓰는 면적이 과거의 측량 면적보다 클 경우 지자체는 해당 면적까지 인정해 주는 대신 돈을 받는다. 등록된 땅보다 땅을 더 보유하고 있었으니 과거에 안 냈던 돈을 내야 한다는 취지로 이해할 수 있다. 반대로 과거에 등록된 면적보다 더 작은 땅을 실제로 쓰고 있었다면 지자체는 소유주의 땅 면적을 줄여주고, 소유주에게 돈을 준다. 지자체가 돈을 줄 수도, 받을 수도 있다.
문제는 대다수 토지 소유주가 조정금의 개념을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 농사를 잘 짓고 있다가 생각지도 못하게 조정금 납부 고지서를 받으면 당황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상대적으로 많은 조정금 납부고지를 받은 일부 주민들은 "갑자기 조정금 고지서를 받게 되면 상당한 부담이 된다"고 토로한다. 조정금은 분납이 가능하지만 1년 이내에 완납해야 한다. 통상 조정금 고지서에는 조정금이 무엇인지 조차 자세히 설명이 나와 있지 않다. 건물이 많은 도심에선 조정금이 발생할 여지가 거의 없고, 주로 농지가 많은 지방에서 조정금을 걷는 일이 많다. 당혹스런 법률 소비자를 위해 지자체 차원에서 주민들에게 조정금이 어떤 개념인지 적극적으로 미리 알릴 필요가 있다.
wschoi@fnnews.com 최우석 법조전문기자·변호사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5세 제자와 교실 성관계' 女교사, 졸업앨범에 실려…학교 해명은
- 하원미 "추신수, 은퇴후 내눈치봐…난 헌팅포차 다녀왔다" 폭탄 고백
- "덜렁덜렁"…인삼 같은 남편 알몸에 성욕 '뚝' 떨어진다는 女
- 부모 일 나간 사이 아파트 화재로 10세 숨지고 7세 중태(종합)
- 박규영, 침대 위에 누워 파격 속옷 화보…갈라진 탄탄 복근 [N샷]
- "애 둘 유부남 꼬신 ○○동 ○○호"…강남 아파트 불륜 현수막 '화끈'
- 남편이 마련한 신혼집, 알고보니 전 여친과 동거한 곳…"7개월 살았다더라"
- 차 마시다 토할 뻔…꽃잎 사이로 개구리 '빼꼼'
- JK김동욱, 이재명 대통령에 훈수 "NATO 회의는 참석해야지"
- "며느리, 아들 장례식서 딴 남자 품에…손녀는 '엄마 비밀친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