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GM, 1분기도 잘 달렸다…2년 연속 흑자 기조

양미영 2024. 4. 22. 15: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KG 모빌리티(이하 KGM)가 지난해 연간 흑자를 기록한 후 1분기에도 순항을 지속했다.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1분기 흑자 기조를 이어갔고 분기 매출도 3개 분기만에 1조원을 다시 넘어섰다.

KGM의 1분기 흑자는 지난 2016년 1분기(영업익 81억원, 순익 23억원) 이후 7년 만에 흑자를 기록한 지난해 1분기(영업익 94억원, 순익 165억 원) 이후 2년 연속이다.

KGM은 지난해 2016년 이후 처음으로 연간 흑자를 기록한 바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출 증가로 3분기 만에 매출 1조원 재돌파
신차 출시로 판매확대·재무구조 개선 다짐

KG 모빌리티(이하 KGM)가 지난해 연간 흑자를 기록한 후 1분기에도 순항을 지속했다.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1분기 흑자 기조를 이어갔고 분기 매출도 3개 분기만에 1조원을 다시 넘어섰다.

/그래픽=비즈워치

KGM은 지난 1분기 영업이익 151억원, 순익 539억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22일 밝혔다. 지난 4분기 대비 모두 흑자전환이다. 지난해 1분기 대비로는 각각 61.09%와 226.11% 급증했다.

매출은 1조18억원으로 작년 4분기보다는 35.15% 늘었지만 지난해 1분기보다는 7.67% 감소했다.

수출 물량 증가와 함께 내부 경영체질개선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 등이 주효했다. 토레스 EVX 판매에 따른 이산화탄소(CO₂) 페널티 환입과 신주인수권 평가이익 등도 영업이익과 순익 증가에 기여했다.   

KGM의 1분기 흑자는 지난 2016년 1분기(영업익 81억원, 순익 23억원) 이후 7년 만에 흑자를 기록한 지난해 1분기(영업익 94억원, 순익 165억 원) 이후 2년 연속이다. 특히 수출 물량 증가에 힘입어 지난해 2분기(1조54억 원)이후 3분기 만에 매출 1조원을 돌파했다.

판매(2만9326대)는 내수 시장이 토레스 신차 효과 소진 등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으나, 수출 물량 증가에 힘입어 지난 3월 1만대 판매를 넘어서는 등 지난 1월 이후 3개월 연속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특히 수출은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며 전년 동기 대비 39.2% 큰 폭으로 증가했다. 1분기 수출은 지난 2014년 1분기(1만9874대) 이후 10년 만에 최대 실적이다.

KGM은 지난해 2016년 이후 처음으로 연간 흑자를 기록한 바 있다. 20년간 흑자를 낸 게 2007년, 2016년, 지난해 등 세 차례에 불과했고 이 중 자동차 판매만으로 이익을 기록한 건 2007년 이후 지난해가 처음이었다. 

올해 창사 70주년을 맞는 KG모빌리티는 신차 출시 등을 통해 도약의 원년으로 삼겠다는 구상이다. KGM은 지난 3월 튀르키예에서 토레스 EVX 시승행사를 가진데 이어 뉴질랜드에서도 토레스와 토레스 EVX 시승 행사를 갖는 등 글로벌 판매 확대에 나서고 있다. 고객 만족도 제고 등 내수 시장 대응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KGM은 "지난해에 이어 흑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며 "글로벌 시장 공략 강화와 함께 코란도 EV와 쿠페스타일 제품 등 다양한 신모델 출시를 통해 판매 확대는 물론 재무구조를 개선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양미영 (flounder@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비즈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