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엔지니어링 '입찰 부담' 낮춘다…'사업수행능력평가' 적용대상 5억→10억 확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중·소 건설엔지니어링 사업자의 입찰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가격입찰 후 사업수행능력평가(PQ, Pre-Qualification) 방식의 적용 대상을 현행 5억 원 미만에서 10억 원 미만으로 확대한다.
일반적으로 공공 사회간접자본(SOC) 부문의 건설엔지니어링 입찰에 참여하는 모든 사업자는 PQ 서류를 먼저 제출해 평가받은 후 적격자만 가격 입찰을 진행해 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로봇, AI, 디지털 등 건설신기술 시험·검증기관도 '확대'
(세종=뉴스1) 조용훈 기자 = 정부가 중·소 건설엔지니어링 사업자의 입찰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가격입찰 후 사업수행능력평가(PQ, Pre-Qualification) 방식의 적용 대상을 현행 5억 원 미만에서 10억 원 미만으로 확대한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23일부터 이런 내용의 '건설기술 진흥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을 본격 시행한다고 22일 밝혔다.
우선 가격입찰 후 이뤄지는 사업수행능력평가 방식의 적용 대상이 확대된다. 이는 중·소규모 건설엔지어링 업체의 입찰 참여 부담을 대폭 완화해 사업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서다.
사업수행능력평가란 건설엔지니어링사업자의 참여기술인, 유사건설엔지니어링 수행실적, 신용도 등을 종합평가 해 입찰참가자를 선정하는 제도다.
일반적으로 공공 사회간접자본(SOC) 부문의 건설엔지니어링 입찰에 참여하는 모든 사업자는 PQ 서류를 먼저 제출해 평가받은 후 적격자만 가격 입찰을 진행해 왔다.
국토부에 따르면 이번 조치로 가격입찰 후 PQ평가가 가능한 대상은 전체 대비 기존 12.6%에서 34.4%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국토부는 로봇, 인공지능(AI) 등 스마트기술이 사용된 건설 신기술 시험성적서 인증기관도 확대한다.
기존에는 건설 신기술 지정에 필요한 시험성적서를 국공립 시험기관 또는 건설엔지니어링사업자가 인증·발행해 왔다.
하지만 앞으로는 '국가표준기본법' 상 인정기구(KOLAS)로부터 인정받은 시험·검사기관도 시험성적서를 인증·발행할 수 있다.
김태병 국토부 기술안전정책관은 “이번 개정을 통해 중·소 건설엔지니어링사의 입찰 참여율이 더욱 높아지고 스마트 기술 등 건설 신기술 개발에도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joyonghu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대구서 짐 5개에 고양이 2마리 태워 경기도 가주실 분…비용 5만원" 뭇매
- "유리컵 사용하고 싶으면 네가 직접 설거지"…식당 선 넘은 안내문 몰매
- "내 원룸으로 퇴근, 주 3회 자고 가는 팀장님…집안일 싫어 피신 오나"
- 부친상 알린 직원에 "대타 구하고 갈 수 없나" 물은 상사…"퇴사 결심"
- "집에 들어오자마자 이어폰 끼는 남편, 고개만 끄덕…같이 사는 의미 있나"
- '문원 의혹' 신지 "나 때문에 미움받을까봐"…빽가 눈물
- 父 대신 김대희 손 잡고…김준호♥김지민 결혼식 '개그맨 축제' [N이슈]
- 치매 노인 농락한 마을 이장, 동네엔 "우린 연인관계" 소문…피해자 더 있다
- '정현규 결별설' 성해은, 발리서 과감 호피 비키니…완벽 몸매 [N샷]
- 이웃집 앞 택배 수십 개 '골머리'…"관리실도 해결 못해, 관리비 내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