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태양과 오징어·박쥐 닮은 성운… 올해의 천체사진

송복규 기자 2024. 4. 22. 10:5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홍염과 흑점, 필라멘트 등 태양의 모든 부분을 구석구석 들여다볼 수 있는 사진이 올해의 천체사진으로 선정됐다.

태아가 엄마 배 속에 있는 듯한 모습의 성운, 오징어와 박쥐를 닮은 성운 등 다양한 천체사진이 출품됐다.

공모전 심사위원단은 "다양한 피사체를 찍은 양질의 사진들이 많아지고 있다"며 "최근 대상 수상작이 심우주 부문에서 많이 배출됐는데, 올해는 태양계 부문에서 선정돼 앞으로 다른 부문의 다양한 작품 활동을 장려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천문연, 제32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발표
‘붉은 태양의 모든 것’ 대상 선정
제32회 천체사진공모전서 대상을 받은 김규섭씨의 ‘붉은 태양의 모든 것’./한국천문연구원

홍염과 흑점, 필라멘트 등 태양의 모든 부분을 구석구석 들여다볼 수 있는 사진이 올해의 천체사진으로 선정됐다. 태아가 엄마 배 속에 있는 듯한 모습의 성운, 오징어와 박쥐를 닮은 성운 등 다양한 천체사진이 출품됐다.

한국천문연구원은 22일 제32회 천체사진공모전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공모전에는 사진 부문과 동영상 부문, 심우주·지구와 우주·태양계 분야에서 총 271개 작품이 출품됐다. 천문연은 올해 출품작 중 24개 작품을 수상작으로 선정했다.

대상은 김규섭씨의 ‘붉은 태양의 모든 것’이 차지했다. 이 사진은 태양망원경으로 태양을 두 구역으로 나눠 촬영한 후 하나로 이어 붙였다. 사진 위쪽엔 거대한 홍염이, 태양 안쪽에는 흑점과 구불구불한 필라멘트가 있다. 사진 한 장으로 수많은 태양 활동을 볼 수 있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제32회 천체사진공모전서 최우수상을 받은 지용호씨의 ‘태아 성운’./한국천문연구원

최우수상에는 카시오페이아자리 동쪽에 있는 태아 성운을 촬영한 지용호씨의 ‘태아 성운’이 선정됐다. 지씨는 한국 출산율을 걱정하는 마음으로 인천 석모도에서 총 6일에 걸쳐 태아 성운을 촬영했다고 한다. 우수상은 세페우스자리 근처 오징어 성운과 비행 박쥐 성운을 촬영한 이충현씨의 ‘Flying Bat and Squid Nebula’에 돌아갔다. 오징어 성운은 매우 어두운 천체인 만큼 노출 시간을 24시간 두고 촬영했다.

천문연은 올해 공모전 출품작들의 작품성이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공모전 심사위원단은 “다양한 피사체를 찍은 양질의 사진들이 많아지고 있다”며 “최근 대상 수상작이 심우주 부문에서 많이 배출됐는데, 올해는 태양계 부문에서 선정돼 앞으로 다른 부문의 다양한 작품 활동을 장려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제32회 천체사진공모전서 우수상을 받은 이충현씨의 ‘Flying Bat and Squid Nebula’./한국천문연구원

수상자들에게는 상패와 상금이 수여된다. 특히 대상 수상자는 한국천문연구원장상과 상금 200만원을 받는다. 천문연 창립 50주년을 맞이해 새로 생긴 ‘50주년 특별 부문’의 경우 천문연이 운영하는 소백산천문대 숙박권을 제공한다.

천체사진공모전은 아름답고 신비한 천체사진으로 천문학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하고자 매년 열리고 있다. 수상작은 국립중앙과학관 천체관과 국내외 전시행사, 천문력 등 다양한 천문우주 과학문화 확산 콘텐츠로 확인할 수 있다. 공모전 수상작은 천문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