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조원 규모 5년물 입찰 이벤트…아시아 장서 미국채 금리 주시[채권브리핑]

유준하 2024. 4. 22. 08: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2일 국내 국고채 시장은 주말 미국채 금리 흐름을 반영하며 강보합 출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말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1bp(0.01%포인트) 내린 4.62%를 기록한 바 있다.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1bp 내린 4.62%, 통화정책에 상대적으로 민감한 2년물 금리는 보합인 4.99%를 기록했다.

이에 이날 국내 국고채 시장은 주말 미국채 금리 흐름과 이창용 총재 발언을 소화하며 강보합 출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말 미국채 금리 보합권 머물러
7월 미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41.9%
한은 총재 “韓, 美 통화정책서 더 독립적이게 돼”
채권 대차잔고, 12거래일 연속 증가세

[이데일리 유준하 기자] 22일 국내 국고채 시장은 주말 미국채 금리 흐름을 반영하며 강보합 출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말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1bp(0.01%포인트) 내린 4.62%를 기록한 바 있다.

주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외신 인터뷰서 금리 인하시기인 만큼 한국 통화정책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통화정책으로부터 조금 더 독립적일 수 있게 됐다고 평가한 점은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장 중에는 2조3000억원 규모 국고채 5년물 입찰이 대기 중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8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 위치한 한 호텔에서 기자단과 가진 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사진=기재부)
주말 미국채 금리는 보합이었다.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1bp 내린 4.62%, 통화정책에 상대적으로 민감한 2년물 금리는 보합인 4.99%를 기록했다. 이달 셋째주를 거치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시기는 9월로 미뤄졌다.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 툴에 따르면 연방기금 금리선물 시장에서의 7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은 41.9%, 9월은 64.5%를 기록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외신과의 인터뷰서 한국 통화정책이 미 연준 정책으로부터 조금 더 독립적일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지금은 금리 인상 시기가 아니라 금리 인하 시기로 다들 이해하고 있다”며 “연준의 금리 결정이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2022년과는 다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에 이날 국내 국고채 시장은 주말 미국채 금리 흐름과 이창용 총재 발언을 소화하며 강보합 출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장 중에는 2조3000억원 규모 5년물 입찰과 7000억원 규모 통화안정증권 91일물 입찰이 예정됐다.

전 거래일 국채 스프레드(금리차)는 차별화되는 모습이었다. 국내 국고채 시장의 전거래일 기준 3년물과 10년물 스프레드는 직전 13.5bp서 11.5bp로 축소됐지만 10년물과 30년물 스프레드 역전폭은 마이너스(-) 18.6bp서 마이너스 19.6bp로 벌어졌다. 전거래일 3년물 금리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국내 채권 대차잔고는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다.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채권 대차잔고는 12거래일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며 전거래일 대비 1678억원 늘어난 142조3633억원을 기록, 지난 2022년 11월10일 이후 최대치다. 해당 기간 늘어난 규모가 가장 큰 종목은 국고채 10년물로 1조8280억원이 늘었으며 국고채 30년물(1조7560억원)과 국고채 5년물(1조6698억원)이 뒤를 이었다.

유준하 (xylitol@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