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 로드맵 세워 지하 420m 봉인…핀란드, 세계 첫 방폐장 건설

이슬기 2024. 4. 21. 18:2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핀란드선 녹색당도 "고준위방폐장 찬성"
글로벌 방폐장 현장을 가다 (1) 핀란드
핀란드 올킬루오토섬 지하 420m에 있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영구처분시설(고준위 방폐장)에서 작업자들이 막바지 작업을 하고 있다. 작업자들이 서 있는 바닥 인근 동그란 원형의 철 구조물이 덮인 곳에 내년부터 사용후 핵연료가 묻힌다. 포시바(핀란드 방사성 폐기물 전담기관) 제공


지난 10일 핀란드의 수도 헬싱키에서 북서쪽으로 약 세 시간을 달려 도착한 에우라요키의 올킬루오토섬. 거대한 원전을 바라보는 자리에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영구처분시설(고준위 방폐장) ‘온칼로’의 막바지 공사가 한창이었다.

한국을 비롯해 원전을 가동하는 전 세계 국가가 내년 완공될 온칼로를 주목하고 있다. 세계에서 처음 가동하는 고준위 방폐장이어서다. 파시 투오히마 온칼로 커뮤니케이션 매니저는 “외딴섬에 있지만 온칼로를 직접 보기 위해 세계에서 매년 2만여 명이 찾아오고 있다”고 말했다.

핀란드 정부는 원전 가동 이듬해인 1978년부터 고준위 방폐장 건설을 검토했다. 핀란드 의회는 1983년 장기 로드맵을 세워 정부를 지원했다. 방폐장 건설엔 여야 구분이 없었다. 핀란드의 대표적 좌파 정당인 녹색당도 고준위 방폐장 건설을 지원했다.

 착공 10년전 방문자센터 열어…원전·방폐장 안전성 적극 홍보
'과학적 데이터' 기반 부지 선정…18억년 된 화강암 지층에 건설

핀란드 남서부 시골마을 에우라요키에 있는 올킬루오토섬은 인구 1만 명도 되지 않는 외딴섬이다. 리클란카리국립공원 등 자연 보호 구역 네 곳이 있어 도로를 지나갈 때 순록, 늑대와 같은 야생 동물도 볼 수 있다.

 화강암 지하 420m에 방폐장 매립지

핀란드 정부는 자연환경이 잘 보전된 국립공원 인근에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영구처분시설(고준위 방폐장) ‘온칼로’를 건설하고 있다. 푸른 바다 너머 약 700m 떨어진 곳에 핀란드 전력 수요의 40%를 생산하는 올킬루오토 원전이 자리잡고 있었다. 고준위 방폐장은 사용후 핵연료 등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처분하는 시설이다. 온칼로는 사용후 핵폐기물을 방사선이 자연방사선과 비슷한 수준까지 떨어지는 10만 년 동안 봉인한다. 보통 주민들은 장기간 방사능 피해 가능성이 있는 이런 혐오시설을 곁에 두려 하지 않는다. 대부분 원전 국가가 방폐장 건설 부지조차 선정하지 못하는 이유다.

현지 전문가들은 고준위 방폐장을 건설하려면 정부와 국회가 장기 로드맵을 짜고 국민을 차근차근 설득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핀란드 원자력방사능안전청(STUK)의 카이 하말라이넨 핵폐기물시설 규제분야 수석고문은 “최대한 안전한 방폐장을 만들 수 있도록 원전과 에너지, 지질학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고 오랜 시간 논의하고 검증한 결과 올킬루오토섬을 적합한 후보지로 결정했다”며 “주민들에게 방폐장이 안전하다는 사실을 납득시키는 데 가장 많은 공을 들였다”고 강조했다.

올킬루오토섬은 18억 년 된 화강암 지층이 단단하게 자리 잡고 있다. 화강암 암반은 침투력이 낮아 방사성 물질이 쉽게 새 나가지 않는다. 방폐장 인근에 원전이 가동되고 있어 핵폐기물을 옮기는 과정에서 위험도 낮출 수 있다.

온칼로 방폐장 매립지를 직접 보면 안전성에 대한 신뢰가 더 높아진다. 온칼로 입구에서 경사 10도의 구부러진 땅굴 도로를 자동차로 15분간 달려 내려가면 고준위 방폐물 매립지가 나타난다. 지하 420m 위치다. 10m 간격으로 파인 지름 1.5m의 구덩이는 텅 비어 있다. 파시 투오히마 온칼로 커뮤니케이션 매니저는 “내년부터 매립지에 캐니스터(금속 밀봉용기)로 감싼 사용후 핵연료들이 차례로 묻힐 예정”이라며 “저장고가 가득 차기까지는 100~120년이 걸릴 것”이라고 했다.

 방폐장 착공 10년 전 방문자센터 열어

핀란드 정부는 첫 원전 가동을 시작한 다음 해인 1978년부터 고준위 방폐장 건설을 위해 지질 조사를 시작했다. 핀란드 의회는 1983년 고준위 방폐장 건설의 장기 로드맵을 발표했다. 올킬루오토섬을 고준위 방폐장 부지로 확정한 건 이로부터 18년이 흐른 2001년. 정부는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2004년부터 인허가용 지하 연구시설(URL)을 운영했다. 의회가 장기 로드맵을 발표한 지 42년, 건설 부지를 선정한 뒤 24년 만에 방폐장이 가동되는 것이다.

정부와 국회는 방폐장의 안전성과 필요성을 홍보하는 데 총력을 기울였다. 정부는 방폐장 착공 10년 전인 2006년 온칼로 방문자센터를 열었다. 투오히마 매니저는 “관람객은 비행기를 안심하고 타듯 원전과 방폐장이 안전하다는 사실을 배우게 된다”고 했다. 이날 온칼로 방문자센터 앞엔 헬싱키의 한 고등학교에서 온 노란색 관광버스가 서 있었다. 학생들은 방폐장과 원전의 원리에 대한 교육 영상을 시청했다. 리카 메키넨 교사는 “기후변화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원전과 온칼로를 직접 보려는 학생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에우라요키=이슬기 기자 surugi@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