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망 요충지로 GS4 부각…韓·中·日 수출경합 심화”

장우진 2024. 4. 21. 11: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도·인도네시아·멕시코·브라질 등 일명 '글로벌 사우스 4(GS4)'가 공급망 리스크 확보와 신규 시장 개척을 위한 글로벌 전략 요충지로 부각되는 가운데, 한국 수출기업들이 중국·일본과의 수출 경쟁에서 우위를 보이기 위해 현장 밀착형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보고서는 이러한 '프랜드쇼어링'(우방국 중심 공급망 구축)으로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글로벌 사우스 76개국 중 G20 회원국으로서 정치적 영향력이 있으면서, 경제 규모가 큰 '인도·인도네시아·멕시코·브라질(GS4)'에 주목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무역협회 제공

인도·인도네시아·멕시코·브라질 등 일명 '글로벌 사우스 4(GS4)'가 공급망 리스크 확보와 신규 시장 개척을 위한 글로벌 전략 요충지로 부각되는 가운데, 한국 수출기업들이 중국·일본과의 수출 경쟁에서 우위를 보이기 위해 현장 밀착형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가 21일 발간한 '블록화 시대, 글로벌 사우스 활용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지정학적으로 가까운 우방국과의 교역이 빠르게 늘면서 2020년 기준 우방국 교역 비중은 54.6%까지 높아졌다.

보고서는 이러한 '프랜드쇼어링'(우방국 중심 공급망 구축)으로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글로벌 사우스 76개국 중 G20 회원국으로서 정치적 영향력이 있으면서, 경제 규모가 큰 '인도·인도네시아·멕시코·브라질(GS4)'에 주목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GS4가 글로벌 공급망의 유망 생산 거점이자 성장잠재력을 지닌 거대 소비시장인 점도 부각된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와 브라질은 수입시장이 최근 5년간 연평균 5.6%씩 증가해 세계 평균(4.0%)을 상회하고 있다. 멕시코는 수입의 53.2%가 중간재인 대표적 글로벌 생산기지고, 인도네시아도 2022년 총수입 2000억달러를 돌파했다.

보고서는 GS4 시장에서 한·중·일간 경쟁 구도에 주목했다. 인도, 인도네시아에서는 15대 품목 중 절반 이상에서 중국, 일본과의 수출경합도가 2015년 대비 높아지고 있다. 보고서는 "기술 혁신을 통한 제품 고부가가치화, 현지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해 경쟁력 강화에 나서야 한다"고 제언했다.

반도체의 경우 인도 시장에서 중국·일본 제품과 수출 경합이 심화되는 가운데, 인도 내 한국산 반도체 점유율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의 반도체 총수입은 2015년 이후 연평균 27.2%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전문 엔지니어 등 고급 인력도 풍부한 것으로 평가되며, 현지 정부도 반도체 산업 육성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멕시코 시장에서는 우리나라가 중국·일본과의 수출 경합이 GS4 중 가장 치열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박을 제외한 14대 품목 중 9개에서 일본과의 경합이 심화됐으며, 작년 석유제품의 경합도는 1에 가까울 만큼 치열했다.

브라질 수입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시장 점유율은 2010년 5위(4.7%)에서 작년 11위(2.0%)로 떨어졌다. 작년 기준 브라질의 반도체 총수입은 최근 5년간 연평균 9.9% 성장했지만, 한국 반도체 수입은 동기간 8.7% 감소해 수출 확대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글로벌 사우스는 일반적으로 북반구 저위도·남반구에 위치한 아시아·중남미·중동·아프리카의신흥개발도상국을 의미하며, 선진국을 뜻하는 '글로벌 노스'와 대비된다.

양지원 무협 연구원은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공급망 재편은 구조적 축의 전환이므로 글로벌 사우스와의 협력은 필수"라며 "환율변동, 인플레이션, 각종 규제 등 다양한 현지 리스크가 존재하는 만큼 진출 기업의 애로를 해소할 수 있는 현장 밀착형 지원이 요구된다. 이들과의 교역·투자를 확대하는 동시에 다자 협력 참여, 공적개발원조(ODA) 사업 확대 등 경제 협력 채널을 다각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장우진기자 jwj17@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