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떼 칼럼] 오디오와 와인, 숙성의 미덕

2024. 4. 20. 00:4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요즘 와인을 즐겨 마신다.

오디오와 와인을 정말 공정하게 동일선상에서 놓고 비교하는 건 난센스다.

그뿐만 아니라 1년 정도의 숙성 차이를 두고 있는 와인과 수십 년 차이를 두고 벌어지는 기술과 디자인, 인터페이스 전쟁터 오디오와는 분명 다른 면이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디오나 와인이나 꼭 최신형이 좋으란 법은 없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와인의 맛, 시간과 자연이 좌우
오디오도 세월의 더께 더해져야
이장호 오디오 평론가

요즘 와인을 즐겨 마신다. 예전엔 소주 아니면 맥주였고 위스키는 가끔 마셨다. 최근엔 와인이 당기는데 그 이유는 나도 모른다. 대충 가늠해보면 나이 때문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맥주는 배가 부르다. 따라서 소화가 잘 되지 않고 더부룩해 기분이 나쁜 경우가 종종 있다. 배는 부른데 취기가 올라오면 기분 좋아지라고 마신 술 때문에 오히려 기분이 나빠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소주는 마시긴 하지만 이건 좀 사람 심성을 거칠고 공격적으로 만드는 경향이 있다.

청음실에 이러면 안 되는 걸 알지만 작은 와인 셀러를 하나 구비했다. 여덟 병 정도 들어가는 국민 와인 셀러다. 아는 와인숍에 주문해 넣어두고 가끔 지인들이 오면 대형 스크린으로 유튜브 음악 영상을 틀어놓고 마신다. 물론 자주 마시면 곤란하다. 안 그래도 청음실이자 일하는 곳인데 자주 이러면 오늘 일을 내일로, 내일 일을 모레로 미루게 된다.

내가 와인에 관심이 많은 걸 아는 지인이 최근엔 어디를 함께 가자고 했다. 다름 아니라 와인 시음회였다. 단순 시음하고 노는 건 아니고 간단한 스터디도 있다고 했다. 무엇이든 공부해서 알고 경험하는 건 음악이나 오디오나 마찬가지로 훨씬 더 즐거움을 배가시킨다. 그런데 가보니 강의를 꽤 오래 한다. 시음하는 와인은 미국 나파밸리 지역에서 재배한 포도로 그곳 와이너리가 생산한다고 한다. 브랜드 이름은 프로몬토리. ‘잃어버린 붉은 그림자’, 나파밸리 화재에서 살아 돌아온 바로 그 컬트 와인이다.

강의 중에 스태프가 돌아다니며 2017년, 2018년, 2019년산 세 종류 와인을 한 잔씩 따라주는데, 연도만 다르지 동일한 와이너리에서 생산한 와인들이다. 재밌는 건 꼭 오래된 것이 좋은 것도, 가장 최근 생산된 와인이 좋은 것도 아니다. 내가 맛보기엔 2018년산이 가장 좋았던 듯하다. 왜 그럴까? 의문이 들지만 이건 와이너리 대표도 모를 일일 것이다. 자신들이 가공했지만 결국 자연이 그렇게 만들었으니까. 결국 여러 조건이 변화무쌍하게 서로 엮여서 이뤄낸 게 아닐까. 어차피 소진되고 나면 모두 잊힐 것들이지만 소멸하는 게 아쉬울 뿐이다.

오디오도 마찬가지다. 과거 한 시대를 풍미하고 사라지는 것들이 아쉬울 때가 많다. 최신형이 무조건 좋다는 것은 다 거짓말이다. 물론 디지털 소스 기기는 요즘 제품이 좋지만, 과거에 만들어진 아날로그 기기나 패시브 스피커도 여전히 믿을 수 없을 만큼 좋은 소리를 낸다. 물론 보관 상태가 좋다는 전제가 있다.

오디오와 와인을 정말 공정하게 동일선상에서 놓고 비교하는 건 난센스다. 그뿐만 아니라 1년 정도의 숙성 차이를 두고 있는 와인과 수십 년 차이를 두고 벌어지는 기술과 디자인, 인터페이스 전쟁터 오디오와는 분명 다른 면이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디오나 와인이나 꼭 최신형이 좋으란 법은 없다. 무릇 적당히 오래돼 사람과 오디오 사이에 간극이 좁아지고 친근해지며 세월의 먼지와 더께가 얹혔을 때 오디오는 음향이 아니라 음악을 들려준다.

많은 사람이 에이징의 차이를 믿지 않고 또 수많은 사람이 에이징의 차이를 믿고 있지만 나는 후자다. 적당히 익은 우퍼와 적당히 익은 케이블을 좋아한다. 박스를 개봉해 헤드셀에 장착하고 처음 들은 소리보다는 한 달 후에 들어본 카트리지가 경험상 더 좋은 소리를 낸다. 모두 상승 곡선을 타다가 어느 때부터인가 내리막길을 간다는 면에선 와인이나 오디오나 인간이나 비슷하다. 한 잔의 술과 오디오에서도 인생을 배운다.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