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마당] 봄맞아 나물 캐기 산행 급증… 길 잃음 사고 늘어 주의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완연한 봄이 찾아왔다.
완연한 봄을 맞아 산으로 나물을 캐러 다니는 분들이 많이 생기면서 길을 잃고 구조요청을 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꽃'보다 '고사리'로 봄을 맞는다는 제주도의 경우, 소방당국은 최근 5년간(2019~2023년) 고사리를 꺾다가 발생한 길 잃음 사고가 190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길 잃음 사고 예방 안전수칙을 숙지하여 즐거운 봄철 산나물 채취 산행이 되길 바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완연한 봄이 찾아왔다. 올해는 개화 시기가 늦어서인지 봄이 늦게 시작된 것 같다. 완연한 봄을 맞아 산으로 나물을 캐러 다니는 분들이 많이 생기면서 길을 잃고 구조요청을 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냉이와 씀바귀 등과 같은 나물은 밭에서 채취할 수 있지만 고사리, 더덕, 오가피순, 명이나물, 두릅 등 약성이 좋은 산나물을 채취하기 위해서 높은 산으로 올라가는데 그런 경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꽃’보다 ‘고사리’로 봄을 맞는다는 제주도의 경우, 소방당국은 최근 5년간(2019~2023년) 고사리를 꺾다가 발생한 길 잃음 사고가 190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올해 고사리 채취 길 잃음 사고도 37건이나 발생했는데, 이는 지난해 22건에 비해 15건(68.1%)이나 증가한 수치다.
길 잃음 사고를 예방하려면 항상 일행과 함께 다니고 일행들과 거리가 멀어져 가면 서로 이름을 부르면서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동경로를 확인하거나 끈 등으로 표시해 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비상시에 대비하여 체온 유지를 위한 점퍼와 우의, 물과 비상식량, 손전등을 준비하고 휴대전화와 호각 등 비상시 연락을 취할 수 있는 장비도 준비해야 한다. 길을 잘못 들었을 때는 혼자 길을 찾아 헤매지 말고 제자리에서 119나 112로 신속하게 신고하는 것이 좋다.
길 잃음 사고 예방 안전수칙을 숙지하여 즐거운 봄철 산나물 채취 산행이 되길 바란다.
백근욱·농협창녕교육원 교수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연봉 2억2000만원, 사택에 휴가비까지?”…여기가 진짜 ‘넘사벽’ 직장입니다
- 김혜경 여사, ‘90도’ 인사하는데…‘李 선배님’ 권성동, 못 본 척?
- 박정민, 시력 잃은 父 위해 ‘오디오북’ 제작 “난 장애인의 아들이야”
- 생방 중 김혜경 여사 머리 밀친 카메라…대통령실 “각별한 주의 부탁”
- 이봉원, 사업 실패 → 7억 사채 빚...‘♥박미선’에게 이혼 당하지 않은 비법
- 불륜 스토리에 ‘미친X’ 분노...강다니엘, 녹화 도중에 욕설 → 사과
- “이러다 제주도 망한다”…한국인, ‘이곳’으로 몰려간 이유
- ‘탈모 논란’에 3,571모 심은 썸머퀸 “흑채 썼는데 물에 다 씻겨 나가”
- “진짜 오은영 맞아?”...바뀐 헤어스타일 ‘눈길’ → 민낯까지 최초 공개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