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리의 택시운전사’ 집필한 홍세화 장발장은행장 별세

송은아 2024. 4. 18. 21:4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저서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로 유명한 홍세화 장발장은행장이 18일 오전 별세했다.

지난해 2월 전립선암 진단을 받고 투병해온 홍 은행장은 이날 서울 중랑구 녹색병원에서 숨을 거뒀다.

서울에서 태어나 경기고, 서울대 외교학과를 나온 홍 은행장은 1979년 한 무역회사 주재원으로 프랑스에 체류하던 중 '남조선 민족해방전선 인민위원회 사건'(남민전 사건)에 연루돼 망명했다.

홍 은행장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1995년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란 책을 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저서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로 유명한 홍세화 장발장은행장이 18일 오전 별세했다. 향년 77세.

지난해 2월 전립선암 진단을 받고 투병해온 홍 은행장은 이날 서울 중랑구 녹색병원에서 숨을 거뒀다.
서울에서 태어나 경기고, 서울대 외교학과를 나온 홍 은행장은 1979년 한 무역회사 주재원으로 프랑스에 체류하던 중 ‘남조선 민족해방전선 인민위원회 사건’(남민전 사건)에 연루돼 망명했다.

홍 은행장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1995년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란 책을 냈다. 힘겨운 망명자의 삶과 파리 생활의 에피소드를 다룬 이 책은 한국 사회에 ‘톨레랑스’(관용)의 메시지를 전하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

2002년 귀국한 홍 은행장은 한겨레 기획위원과 진보신당 대표 등을 역임했다. 2015년에는 벌금을 낼 형편이 안 돼 노역할 위기에 놓인 이들에게 최고 300만원을 빌려주는 ‘장발장은행’을 설립했다. 유족으로는 부인 박일선씨와 자녀 수현·용빈씨가 있다.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