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 선생 뜻 기리며 귀향길 걷기 행사…여주 남한강 지나

유진동 기자 2024. 4. 18. 15:42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주 남한강 구간을 걷고 있는 퇴계 선생의 마지막 귀향길 재현 걷기행사에 참여한 참가자들이 지난 17일 오후 여주 영월루 구간을 걷고 있다. 유진동기자

 

퇴계 선생의 귀향길을 직접 걷는 행사가 마련돼 호응을 얻었다.

조선시대 유학자 퇴계(이황 1501~1570)선생이 관직에서 물러나 서울에서 고향인 경북 안동으로 돌아간 길을 따라 270㎞를 걷기행사 참여자들이 지난 17일 오후 여주 남한강구간을 통과했다.

도산서원과 경북도, 안동시 등이 주최한 이번 행사는 이황 선생의 삶과 정신적 가치를 되새기고 기리고자 2019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다.

올해 제5회 퇴계 선생의 마지막 귀향길 재현행사는 지난 12일 서울 경복궁 사정 전 일원에서 개막식 행사를 진행한 후 서울에서 안동까지 455년 전 퇴계 선생의 귀향길 걷기 행사를 오는 25일까지 13박 14일 일정으로 재현한다.

퇴계귀향길 700리 재현 걷기행사 일정표. 도산서원 제공

이 행사는 선조 2년(1569년) 음력 3월 4일 당시 69세의 퇴계 선생이 선조 임금과 조정 신료들의 간곡한 만류에도 떠난 귀향길을 재현, 서울에서 안동 도산서원까지 14일간 270여㎞를 걷는 행사다.

주최 측은 퇴계 선생의 겸손과 배려의 정신, 물러남의 모습을 통해 현대인들에게 선비정신의 참모습을 일깨워주는 계기를 제시하고자 해마다 이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영국·교황청 등 5개국 주한대사와 주최 측 인사, 김병일 도산서원 원장 등 80여 명의 재현단 등이 개막행사에 참여했다.

이들은 서울 경복궁을 시작으로 경기(남양주·양평·여주), 강원(원주), 충북(충주·제천·단양)을 거쳐 경북도(영주·안동)까지 걷으며 구간별로 차담 회와 전통 문화공연, 퇴계 선생 관련 강연 등 다양한 행사를 함께 진행한다.

재현행사 참여자들은 하루 평균 20㎞씩 걸어 25일 도산서원에 도착한 후 퇴계 선생 위패를 모신 상덕사에서 고유제를 지내고 긴 여정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김병일 도산서원장은 “퇴계 선생이 서원 교육의 체계화(교육의 균형발전), 강남농법 보급(윤택한 지역경제), 도산서원 지역공동체 활성화 등으로 많은 인재를 키워왔다”며 “이러한 교육을 통해 살림이 풍요해지게 하고 나라 살림과 발전의 선순환 모델을 실현했다”고 말했다.

유진동 기자 jdyu@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