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60년엔 10만명도 안 태어난다…48조 쏟아부어도 '저출생' 진행형

정인지 기자 2024. 4. 18. 10: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0년은 출생아수가 사상 처음 20만명대로 내려앉은 해다.

연간 출생아 수는 2020년 사상 처음으로 20만명대에 접어든 이후에도 빠르게 감소해 20만명대 초반으로 접어들고 있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명으로 2020년 27만2300명 대비 3년만에 26.6%가 감소했다.

지난해 사망자수가 35만2700명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총인구도 빠르게 감소할 수밖에 없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MT리포트]2020년생이 온다④
[편집자주] 2020년은 출생아수가 사상 처음 20만명대로 내려앉은 해다. 사망자수보다 출생아수가 적어지면서 인구의 자연감소가 시작된 해이기도 하다. 올해는 2020년생이 만 3세로 유치원에 입학하면서 사회 조직에 첫발을 들이게 된다. 2027년엔 초등학교 입학, 2039년엔 대학교에 들어가거나 직장을 찾게 된다. 2020년생이 서른이 되는 2050년엔 국민연금 고갈이 예상된다. 국민연금을 더 내고도 덜 받는 대표적인 세대가 되는 셈이다. 초저출생 시대에 2020년생이 가진 사회적 상징과 파생될 문제를 짚어봤다.

(서울=뉴스1) 윤주희 디자이너 =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인구동향조사 출생·사망통계(잠정)' 결과를 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 명으로 전년 대비 1만9200명(7.7%) 감소했다. 이는 1970년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다. 2016년까지 40만명대를 유지하던 출생아 수는 2017년 30만명대로 감소했고, 2020년에는 처음으로 20만명대로 떨어지며 빠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16년부터 8년 연속 줄어들었다. 감소폭 역시 2020년(-30만 명) 이후 3년 만에 가장 컸다. Copyright (C) /사진=(서울=뉴스1) 윤주희 디자이너
저출생 문제가 심각해지자 정부가 대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지만 올 1월에도 사상 최저 출생아수를 기록하는 등 인구소멸은 현재진행형이다. 이런 추세라면 내년에는 연간 출생아수가 10만명대로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8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 1월 출생아 수는 2만1442명으로 1월 기준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웠다. 통상 1월은 아이가 많이 태어나는 달이지만 전년 동월 대비 7.7%(1788명)이나 감소했다.

연간 출생아 수는 2020년 사상 처음으로 20만명대에 접어든 이후에도 빠르게 감소해 20만명대 초반으로 접어들고 있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명으로 2020년 27만2300명 대비 3년만에 26.6%가 감소했다. 이 속도가 유지된다면 연간 출생아수는 내년에는 10만명대로 떨어질 수 있다. 지난해 사망자수가 35만2700명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총인구도 빠르게 감소할 수밖에 없다.

인구가 급격히 감소한 2020년생이 부모가 되면 인구는 더욱 빠르게 축소된다. 지난해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수) 0.72명처럼 2명이 결혼해 1명도 낳지 않는 이 기조가 이어지면, 인구 1명 당 아이를 0.36명 갖는 꼴이기 때문에 자녀세대는 부모세대보다 3분의1로 줄어들 수 있다.

실제로 통계청은 합계출산율을 지금보다도 높은 0.82명으로 가정했을 때 2020년생이 부모가 될 2050년 중반에 11만명대로 떨어지고, 2060년에는 9만80000명으로 10만명도 못 미치게 된다. 이렇게 빠르게 젊은 세대가 사라졌을 때 사회구조가 어떻게 변해야 할 지 누구도 예상하기 어렵다.

저출생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부 뿐 아니라 기업, 사회 전반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뚜렷한 해법은 나오지 못하고 있다. 저출생의 원인으로 꼽히는 △젊은이들의 늦은 취업 △높은 주거 비용 △경직돼 있는 근무 시간·형태 △비싼 돌봄 비용 등을 함께 개선하는게 급선무다.

정부는 2020년부터 저출생 대응 예산을 40조원 넘게 키워 지난해에도 48조2000억원을 배정했지만, 출산·양육 부담 경감에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예산은 17조5900억원에 불과하다. 한 정부 관계자는 "그동안 사회적 관심 대비 실질적인 정책 수립이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이제는 여·야가 모두 저출생을 심각한 사회 문제로 여기고 있는 만큼 비용 지원, 기업 독려 등 다양한 정책이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인지 기자 injee@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