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전략] 이제 믿을 건 연준보다 실적…시장에 촉매제 될까

김종윤 기자 2024. 4. 18. 07:18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모닝벨 '전문가 전화 연결' - 김민수 레몬리서치 대표

Q. 뉴욕증시가 일제히 하락 마감했습니다. 고금리 장기화 전망이 투심을 악화시키는 데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나스닥이 크게 빠졌는데요?

- 반등 시도한 뉴욕증시, 엔비디아 급락에 하락 반전
- 美 국채금리 진정세·달러 가치 하락 호재로 작용
- '슈퍼 을' ASML 어닝 쇼크 여파, 반도체주 타격
- 엔비디아 4% 가까이 급락…필라델피아 반도체 3.3% 하락
- 월가, 6월 금리인하 전망 철회…횟수 1~2회로 수정
- CME 페드워치, 7월 금리인하 가능성 40% 아래로
- 베이지북 공개…메스터 총재·보우먼 이사 발언 예정
- 연준 베이지북 "美 경기 소폭 확장…개선 지역 10곳"
- "인플레이션 완만…경제 전망 신중히 낙관적" 평가
- 이란-이스라엘 직접 충돌·확전 가능성에 여전히 주시
- 국제유가 하락세…美 원유 재고 증가·수요 둔화 겹쳐
- 바이든, 중국 철강·알루미늄 관세 3배 인상 추진
- 유나이티드항공, 깜짝 실적·여행 수요 호조에 급등
- 기업 여행 수요, 팬데믹 이전보다 두 자릿수 증가
- 보잉 '맥스9' 기종 운항 중단에도 손실 적어 선방
- 일라이 릴리, 비만치료제 수면무호흡증 개선에 강세

Q. 시장이 여러 악재에 힘을 쓰지 못하고 있는데요. 그나마 기댈 곳은 실적이 아닐까 싶습니다. 어닝시즌이 진행되고 있는데 촉매제가 될까요?

- IT·커뮤니케이션 섹터 중심 실적 성장 기대 지속
- 유가 상승·中 경기 회복 기대, 에너지 실적 기대
- 반도체·보험·소비자 서비스 산업군 EPS 성장 기대
- 실적 성장 기대감 높은 반도체 주도 지수 상승 가능
- 일각에선 고금리 장기화에 기업 실적 악화 우려 커져
- 18일 넷플릭스 실적 발표…다음 주 빅테크 실적 대기
- 23일 테슬라, 25일 MS·알파벳·아마존 실적 발표

Q. 어제 코스피 지수가 2600선마저 내줬습니다. 특히 외국인이 매도세로 돌아서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는데요. 지수 하단을 어디까지 열어둬야 할까요?

- 코스피, 두 달 만에 2600선 붕괴…하락 어디까지?
- 중동 리스크·유가·연준 금리인하 등 불확실성 고조
- 외국인·기관 매도에 투심 '급랭'…엑소더스 불안감
- 원·달러 환율 1400원 터치, 외국인 이탈 부채질
- "강달러 일시적 오버슈팅…순매도 길지 않을 것"
- 26일 美 PCE 가격지수·내달 4월 CPI가 분기점 될 것
- 원화 약세에 둔감하거나 실적 상향 업종 대응 유효
- 환율 민감도 감안, 車·호텔레저·필수소비재 주목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짧고 유익한 Biz 숏폼 바로가기

SBS Biz에 제보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