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통신사는 왜 동네북이 됐나

송형석 2024. 4. 18. 00: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자고 일어나면 물가가 뛰는 요즘 오히려 가격이 내려간 항목이 있다.

통신 3사가 5세대(5G) 이동통신 요금 최저 구간을 3만원대로 낮춘 데다 새 폰을 사며 통신사를 바꾸는 소비자에게 지급하는 전환지원금이 늘어나서다.

'데이터 구간 세분화'를 시작으로 '해외 로밍 요금 인하' '3만원대 5G 요금제 출시' '전환지원금 인상' 등 세세한 주문이 한두 달 간격으로 떨어지자 통신사들도 버틸 수 있는 재간이 없었다는 분석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송형석 테크&사이언스부장

자고 일어나면 물가가 뛰는 요즘 오히려 가격이 내려간 항목이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가 내야 하는 통신 요금이다. 지난해 가계통신비 월평균 지출은 전년 대비 0.1% 감소한 12만8100원이다. 쥐꼬리만 한 하락 폭이지만, 인플레이션 시대에 역주행에 성공했다는 점만으로도 눈에 띈다.

이런 추세는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통신 3사가 5세대(5G) 이동통신 요금 최저 구간을 3만원대로 낮춘 데다 새 폰을 사며 통신사를 바꾸는 소비자에게 지급하는 전환지원금이 늘어나서다.

어느새 일상이 된 요금 규제

가계 통신비가 내려간 것은 지난해부터 이어진 정부의 압박 때문이다. ‘데이터 구간 세분화’를 시작으로 ‘해외 로밍 요금 인하’ ‘3만원대 5G 요금제 출시’ ‘전환지원금 인상’ 등 세세한 주문이 한두 달 간격으로 떨어지자 통신사들도 버틸 수 있는 재간이 없었다는 분석이다.

정부가 민간 기업의 상품이나 서비스 가격을 좌지우지하는 것은 자유시장경제 원리에 어긋난다. 하지만 상당수 전문가가 통신을 예외적인 산업으로 분류하고 있다. 정부의 면허사업으로 독과점이 제도적으로 보장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독과점 가격을 규제하는 것은 비상 상황에서 쓸 수 있는 물가 대책이란 게 이들의 논리다.

통신비 인하를 강제해도 ‘뒤탈’이 없다는 인식이 확산한 이유는 그 외에도 다양하다. 정유는 통신과 똑같은 면허사업이지만 수출 비중이 상당하다. 반면 통신은 철저한 내수 산업이다. 통신사를 압박한다고 해서 벌어들이는 외화가 줄어드는 등 직접적인 부작용이 나타나지는 않는다는 뜻이다. 차세대 통신 투자가 지체될 수 있다는 점이 문제가 될 순 있다. 하지만 LTE를 쓰는 사람이 여전히 많은 지금, 5G의 다음 단계인 6G에 대한 걱정은 너무 먼 얘기다.

통신사가 ‘동네북’이 된 근본적인 이유를 ‘혁신의 부재’로 보는 이들도 있다.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내놓지 못하다 보니 정부가 가격을 통제하는 데 거리낌이 없는 유틸리티 업종으로 추락했다는 설명이다.

진짜 문제는 혁신의 부재

이들은 새로운 기술 트렌드가 떠오를 때마다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경쟁적으로 내놨다. 하지만 SK텔레콤의 ‘T맵’ 정도를 제외하면 시장에 안착한 서비스를 찾는 게 쉽지 않다. 2012년엔 문자메시지를 기반으로 카카오톡과 비슷한 메신저 서비스를 앞다퉈 내놨지만 모두 실패했다. 2020년 선보인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도 마찬가지 신세다. 매년 꼬박꼬박 들어오는 통신 요금에 취해 공격적으로 사업을 전개하지 못한 것이 패인으로 거론된다.

통신사의 위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지표는 시가총액이다. 2000년만 해도 KT와 SK텔레콤은 ‘원조 빅테크’로 불리며 유가증권시장 시총 순위 2~3위를 달렸다. 두 회사의 시총을 넘어서는 곳은 삼성전자 단 한 곳이었다. 20여 년이 지난 지금 시총 ‘톱30’에서 통신사의 이름은 없다. 통신 3사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은 모두 ‘1’ 이하다. 시총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 가치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뜻이다.

최근 통신사들은 인공지능(AI)을 새로운 먹거리로 점찍고 심기일전을 다짐하고 있다. 이들이 ‘통신사는 안 된다’는 오랜 편견을 깰 수 있을지 주목된다. 지금 통신사에 필요한 것은 절박함과 야성이다.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