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 부족에 텃세까지…귀농·귀촌 청년 4명 중 1명 탈강원

이정호 2024. 4. 18. 00: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구소멸 위기를 겪고 있는 강원도에 지역살리기 대책으로 청년 귀농·귀촌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최근 도내 귀농·귀촌 청년 인구는 매년 감소하고 있다.

귀촌한 청년들은 현 지원정책의 실효성이 떨어지는 방증이라며 다양한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호소하고 있다.

도내 귀농·귀촌 청년들은 신규유입을 위한 현실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청년 귀농·귀촌인구가 온전히 강원도민으로 정착하기 위해 지자체의 맞춤형 '핀셋 정책'이 수반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년새 1만5776명→1만1650명
체류형 경험·판로 개척 교육 등
신규 유치 현실적 지원책 호소
텃세 금지 등 법적 보호 요구도

인구소멸 위기를 겪고 있는 강원도에 지역살리기 대책으로 청년 귀농·귀촌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최근 도내 귀농·귀촌 청년 인구는 매년 감소하고 있다. 귀촌한 청년들은 현 지원정책의 실효성이 떨어지는 방증이라며 다양한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호소하고 있다.

17일 도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도내 귀농·귀촌 인구는 총 2만8306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30대 이하 청년들은 1만1650명(41.15%)에 달한다. 문제는 지자체들의 노력에도 최근 30대 이하 귀농·귀촌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추이를 보면 2017년 1만3542명에서 2019년 1만5776명으로 최고치를 찍었다가 2021년(1만3835명)부터 급감하기 시작했다. 2019년과 비교해 3년 새 26.1%(4126명)가 강원을 떠났다. 같은 기간 40대 이상에서는 큰 변화가 없던 것과 비교하면 청년들의 강원 엑소더스(대탈출)가 시작된 것으로 분석된다.

도내 귀농·귀촌 청년들은 신규유입을 위한 현실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홍천 귀농 4년차 이준규(34)씨는 청년들이 지역에 오기 위해서는 체류형 프로그램 확대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씨는 “홍천을 결정하기 전 체류형 센터를 통해 미리 농촌의 삶을 경험해봤다. 이 기간 동안 살아보면서 최종 결정을 내릴 때 도움이 많이 됐다” 했다. 같은 지역에서 귀농 2년차에 접어든 신모씨(36)는 “생산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곳은 많지만 판로를 알려주는 곳은 적다. 판로가 수입으로 직결되는 만큼 새로 유입하는 청년들을 위해 판로 개척 교육 등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또 지원정책과 더불어 텃세에 대한 법적 안전장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양구 귀농 3년차 A씨는 귀농 첫 날 원주민에게 도로 통행료를 요구 받았다고 토로했다. A씨는 “농지로 들어가는 입구가 자기 땅이기 때문에 통행료를 내야 한다며 이전에 귀농하신 분도 1년 동안 300만원을 내시다가 결국 포기하고 도시로 돌아왔다”고 했다.

청년 귀농·귀촌인구가 온전히 강원도민으로 정착하기 위해 지자체의 맞춤형 ‘핀셋 정책’이 수반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춘천 귀농 2년차인 조효명(33)씨는 “하고 싶은 농사, 되고 싶은 농부의 모습을 선발대가 보여야 후발대가 들어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 신규 유입에만 매몰될 것이 아니라 이미 정주하고 있는 이들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이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강원 #인구소멸 #귀농 #귀촌 

#귀농 #귀촌 #청년 #지원 #강원

Copyright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