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친 흙길에서도 자율주행 쌩쌩 달린다!

박장훈 2024. 4. 17. 20:2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대전] [앵커]

거칠고 험한 흙길은 물론, 비나 눈이 내리는 기상 악화에도 안정적으로 자율주행이 가능한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습니다.

기존보다 인식 처리속도가 1.5배 가량 빨라 산업용이나 국방 무인차량 등에 활용될 전망입니다.

박장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방이나 광산, 건설현장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무인차량.

거친 흙길이나 악천후에도 라이다 센서가 주변을 잘 인식해 자율주행이 가능해야 합니다.

그런데 라이다 센서에 흙탕물이 튀거나 비나 눈이 내리면 센서가 이를 인식하지 못해 사고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자율주행 고성능 환경인식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라이다 센서에 이물질이 묻으면 실시간으로 세척액을 분사해 와이퍼로 닦아내고 센서 신호 보정을 통해 비나 눈, 먼지를 다른 물체와 구별 가능합니다.

[이한민/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 : "먼지나 눈, 비와 같은 작은 입자들은 라이다 센서로 들어오는 신호에 밀도나 반사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이 값을 기준으로 저희가 이런 (방해) 신호를 걸러내는 겁니다."]

급경사나 구덩이 등 울퉁불퉁한 길에서 주행 가능한 곳을 스스로 찾아내기도 합니다.

갑작스런 장애물을 피할 수 있는 인공지능 주행제어 기술이 적용된 건데 기존 자율주행 기술에 비해 처리 속도가 1.5배 빨라졌습니다.

[이민영/한국기계연구원 선임연구원 : "원래 3차원으로 들어오는 점군 데이터를 2차원으로 이미지화시킨 이후에 그것을 처리하기 때문에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주행 가능 영역을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연구팀은 앞으로 굴착기나 덤프트럭, 트랙터 같은 산업용 무인차량이나 전차, 수색차량에 이 기술을 활용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박장훈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박장훈 기자 (pjh@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