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주권' 강조한 네이버·리벨리온…"기술 종속 우려"

황동진 2024. 4. 17. 19: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생성형 인공지능(AI) 경쟁이 국가 대항전처럼 흘러갑니다. 각국 정부 차원에서 엄청난 투자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17일 '월드IT쇼 2024'에서 열린 '글로벌 ICT 전망 콘퍼런스'의 기조연설자로 나선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센터장은 AI 주권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같이 말했다.

하 센터장에 이어 무대에 오른 AI 반도체 기업 리벨리온의 박성현 대표도 AI 주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월드IT쇼 2024
전문가 기조연설
"국가 대항전 된 생성AI 경쟁"

“생성형 인공지능(AI) 경쟁이 국가 대항전처럼 흘러갑니다. 각국 정부 차원에서 엄청난 투자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17일 ‘월드IT쇼 2024’에서 열린 ‘글로벌 ICT 전망 콘퍼런스’의 기조연설자로 나선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센터장은 AI 주권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같이 말했다. 행사장은 말 그대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전시장 한쪽에 마련된 행사장은 강연을 듣기 위한 인파로 가득했다. 서 있을 공간도 부족해 일부 관람객은 행사장을 둘러싸고 있는 가림판 틈새로 지켜보기도 했다.

하 센터장은 네이버의 대규모언어모델(LLM)인 ‘하이퍼클로바X’를 중심으로 네이버의 AI사업을 이끌어온 인물이다. 그는 AI가 막대한 파급 효과를 지닌 만큼 주권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 센터장은 “이미 많은 분야에서 생성 AI 도입이 시작됐다”며 “모든 나라가 실리콘밸리 빅테크의 AI만 사용하게 되면 국가 정체성이 사라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하 센터장에 이어 무대에 오른 AI 반도체 기업 리벨리온의 박성현 대표도 AI 주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독립운동 같다고 생각한다”는 말로 강연을 시작한 그는 “AI 주권을 지킬 수 있을지, 노력의 결과물이 외산으로 넘어가지 않을지 걱정된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더 넓은 시각에서 AI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박 대표는 “잘 만든 차도 도로가 제대로 깔려 있지 않으면 빨리 달릴 수 없다”며 “AI 발전에 대비해 반도체는 물론 발전소를 비롯한 전력 공급 인프라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황동진 기자 radhwang@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