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적]가장 나쁜 ‘사과’
윤석열 대통령이 총선 패배 후 ‘반성문’을 썼는데도 민심은 싸늘하다. 국민은 왜 사과를 받아주지 않는 걸까.
미국 언어학자 에드윈 바티스텔라가 쓴 <공개 사과의 기술>을 보면, 윤 대통령 사과는 잘못을 인정하는 사과의 첫 단계부터 잘못됐다. ‘그러나·하지만’ 같은 ‘잘못을 축소하려는’ 조건을 달았다. 윤 대통령이 16일 직접 내놓은 첫 총선 관련 메시지에는 ‘국민이 이해하지 못했다’며 억울함을 호소하는 문장이 되풀이됐다.
“취임 후 2년 동안 국민만 바라보며 국익을 위한 길을 걸어왔지만, 국민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물가 관리에 총력을 다했다. 그러나 서민들의 형편을 개선하는 데에 힘이 닿지 못했다.”
사과에도 정석이 있다. ①무엇이 미안한지 내용이 구체적이어야 하고 ②늦지 않게 제때 ③진정성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④앞으로의 다짐과 약속이 있어야 제대로 된 사과가 완성된다. 하지만 윤 대통령의 사과에는 이 4가지가 모두 미흡하거나 아예 없다. ①무엇을 잘못했는지는 없이 ‘최선을 다했지만’이라 했고 ②총선 패배 후 엿새 만에 내놓은 메시지는 타이밍도 늦었고, 형식과 내용 모두 실망스러웠으며 ③그저 변명으로 일관하니 진심이 느껴지지 않아 반감을 샀다. ④의대 증원 등 국정방향을 제시하지도 않았다. “국민들께 죄송하다”는 말도, 나중에 참모의 별도 설명에서 나왔다. 실패한 사과의 공식을 모두 갖춘 ‘가장 나쁜 사과’의 사례로 꼽을 수 있겠다.
검사 출신의 윤 대통령은 사과에 인색하고 서툴다. 대선 후보 시절에도 ‘전두환 옹호’ 발언을 했다가 여론이 나빠지자 인스타그램에 반려견에게 사과를 주는 사진을 올려 ‘개사과’ 논란을 부른 적 있다. 사과는 곧 굴복으로, 자신의 체면을 잃는다고 믿는 것일까.
바티스텔라는 “사과도 기술”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기술이 전부는 아니다. 국민은 사과가 진심인지 가식인지 금방 알아챈다. 지금 국민이 듣고 싶은 말은 윤 대통령이 미흡함을 인정하고, 민심 앞에 더 겸허하겠다는 각오를 밝히는 것이다. 언어는 “미안해”가 아닌 “내가 잘못했다”여야 한다. 위기를 모면하고자 토를 단 사과는 십중팔구 사태를 악화시키는 불쏘시개 구실을 할 뿐이다.
이명희 논설위원 minsu@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UV인 줄 알고 계약했더니 1차선을 못달린다고 ··· 픽업트럭 넌 정체가 뭐냐?”
- 우여곡절 끝 열린 ‘제주들불축제’, 강풍에 천막 등 붕괴 ‘전면 취소’
- [경제뭔데]‘슈퍼엔저’의 종말···국내보다 싼 일본여행, 이젠 어렵겠네
- ‘천원주택’ 대박났다···500가구 모집에 3681명 몰려
- 한동훈, 윤 대통령 탄핵 선고 앞두고 “승복은 선택 아니라 당연”
- [속보] 권성동, 윤석열 탄핵심판 “당 공식 입장은 헌재 판단 승복”
- 김병주 MBK 회장 사재 출연···“홈플러스 소상공인 결제대금 지원”
- ‘내돈내산’아니었어? 알고보니 협찬···SNS ‘뒷광고’ 2만건 적발
- 민주당 공약 초안에 ‘정년 연장’ 포함 확인…조기 대선에 민생 이슈 선점
- 고속열차처럼 빠르다…시속 300㎞로 항해하는 선박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