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民이 처음으로 산하기관 경영 평가…경기도, 대형 공공기관 4곳 대상 온·오프라인 투표 [밀착 취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기도의 주요 산하기관 4곳이 도민들로부터 직접 경영 평가를 받는다.
평가는 도청과 전문가가 하는 서면 평가와 도민이 참여하는 온·오프라인 투표로 나뉘어 진행된다.
아울러 온라인 투표의 경우 평가 기간 도민 한 사람이 하루 한 번씩, 총 21회나 투표할 수 있다.
도 관계자는 "책임계약은 공공기관의 자율성과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도입됐다"며 "이번 평가를 통해 공공기관이 도민을 위한 사업을 하도록 독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GH·경기신보·경기문화재단·경과원 4곳이 대상
공공·임대주택 확보, 채권 소각, 문화격차 해소 등
무작위 인기투표 가능성, 50% 배점 등에는 우려
경기도의 주요 산하기관 4곳이 도민들로부터 직접 경영 평가를 받는다. 온·오프라인을 통해 이뤄지는 평가에서 우수한 성적을 얻은 기관에는 정원 증원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GH의 경우 △신도시 공공주택 7901호, 공공 복합개발 임대주택 316호 확보 △중소기업 노동자 특별공급 1.2%로 확대 △어르신 안전 하우징 사업 200호 추진 △광교 광장 설계 착수 등이다.
경기신보는 △신용회복 지원을 위한 채권 소각 660억원 △재도전 희망 특례 보증 100억원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소상공인 대환자금 750억원 지원의 3개 사업이 채택됐다.
이 밖에 경기문화재단은 문화 향유 격차 해소를 위한 외부 재원 5억원 유치, 경과원은 경기 북부 균형발전 및 기업투자 활성화를 위한 G-펀드 조성 1200억원 등을 책임 목표로 제시했다.
평가는 도청과 전문가가 하는 서면 평가와 도민이 참여하는 온·오프라인 투표로 나뉘어 진행된다. 우선 도는 사업의 달성도(30%)를 평가하고, 이후 전문가(20%)와 도민(50%)이 2차 평가를 진행한다.
온라인 투표는 전날 개설된 책임계약 투표 누리집에서 이뤄진다. 도민이 해당 사업에 대한 설명을 읽고, 공공기관과 사업을 택하는 새로운 방식이다. 도청 민원실 등을 찾은 도민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투표도 이뤄진다.
광역지자체 차원에서 처음 도입된 이번 실질 평가를 두고 일각에선 우려도 나타낸다. 단순히 관광지나 우수사원을 선정하는 투표를 벗어나 세부 사업에 대해 순위로 점수를 매기는 방식 때문이다. 자칫 인기투표로 흐를 수 있고, 온·오프라인 투표의 배점도 50%에 이른다.
아울러 온라인 투표의 경우 평가 기간 도민 한 사람이 하루 한 번씩, 총 21회나 투표할 수 있다.
일부 사업의 개념이 모호한 것도 지적받는다. 예컨대 경과원의 ‘경기 북부 균형발전 및 기업투자 활성화를 위한 G-펀드 조성 1200억원’의 경우 G-펀드의 개념을 제대로 알고, 펀드 조성이 미치는 실질적 영향을 계량화할 수 있는 도민이 얼마나 될지 알 수 없다.
도 관계자는 “책임계약은 공공기관의 자율성과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도입됐다”며 “이번 평가를 통해 공공기관이 도민을 위한 사업을 하도록 독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수원=오상도 기자 sdoh@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55세에 손녀 같은 막내딸까지 얻었는데…이혼설 터진 신현준, 진실은?
- “운동 다녀올게” 집 나선 40대女 참변…30대男 “너무 힘들어서”
- ‘78세’ 김용건, 붕어빵 늦둥이 아들 공개? “역시 피는 못 속여”
- “돈독 올랐다” 욕먹은 장윤정, ‘진짜 돈독’ 오른 사정 있었다
- “내 콩팥 떼어주면 돼” 언니에게 선뜻 신장 내어준 동생
- “개보다 못해” 아내에 피살된 유명 강사…백종원 피고발 [금주의 사건사고]
- 누군지 맞히셨어요?…아기 때 얼굴 전혀 없다는 유명 방송인
- “이제 10억으론 어림도 없어요”
- “한국인 45만명 사라졌다”…무슨 일이?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