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용 초거대 AI` 올해 밑그림 나온다

팽동현 2024. 4. 17. 17:1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적용 대상·학습 데이터 등 선정
110억 들여 초거대AI 활용 지원
AI 세계 톱3 목표, 활성화 주력
SI 대신 상용SW 우선 도입 방침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 5차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고진 디지털플랫폼위원장,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김병환 기재부 1차관, 고기동 행안부 차관, 이정렬 개인정위 사무처장, 박상욱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디플정위 제공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차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참석자들이 의견을 나누고 있다. 디플정위 제공

정부가 올해 디지털플랫폼정부 사업 실행에 본격적으로 나서는 가운데 기존 SI(시스템통합) 입찰 방식에서 벗어나기 위해, 이미 개발돼 있는 상용 SW(소프트웨어)를 우선 도입하고 민간투자형 사업을 확대한다. 정부가 정한 규격대로 개발자를 '갈아 넣어' 맞춤 개발하는 식으로는 정부도, 국내 SW 산업도 미래가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특히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가 직접 추진하는 사업은 상용SW 사용을 의무화하고, 개발 방식으로 할 경우는 엄격한 검증을 거치도록 해 우수 상용SW가 정부에 도입되도록 유도한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5차 전체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 발표 1주년을 맞아 위원회가 관계부처와 함께 추진 중인 6개 정책과제들을 발표·논의했다.

위원회는 혁신적인 공공서비스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제도와 사업방식이 걸림돌이 된다는 판단 하에 개선에 나선다. 검증된 상용SW 우선 도입 원칙을 정립해 적용하고, 민간투자형 SW사업을 확대해 민간의 혁신 DNA와 솔루션이 정부로 자연스럽게 흘러갈 수 있도록 유도한다. 정보화사업 개발·운영 방식도 시스템 특성·복잡도를 고려해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도록 유연화하고, 샌드박스 운영을 통한 최신 기술 적기 도입 등 기존 조달·계약 체계를 개선한다.

디지털플랫폼정부 구축의 책임과 전문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전문성 있는 감리업체가 품질을 관리하는 책임감리 도입도 추진한다.

'AI G3(주요 3개국)' 도약의 일환으로 공공부문 AI 도입·활용 활성화를 위해 △공공 AI 활용 성공사례 창출·확산 △공공 AI 활용 역량 강화 △정부 전용 초거대AI 기반 구현도 추진한다. 범정부적 AI 기반 행정으로의 신속한 전환과 함께 복지·재난·안전 등 다양한 대국민 맞춤형 서비스 활성화를 꾀한다.

특히 정부 전용 초거대AI의 경우 올해 ISP(정보화전략계획)사업을 통해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하고, 시범 적용대상과 학습데이터 선정 등 사전 준비도 진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정부 행정과 서비스 전반이 AI를 바탕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기반을 갖춘다.

정부·공공부문의 초거대AI 활용 지원규모를 지난해 20억원에서 올해 110억원으로 확대하고, 행정효율화·현안해결 등 분야별 대규모 프로젝트를 발굴해 집중 지원한다. '공공부문 초거대AI 도입·활용 가이드라인'을 이달 중 배포해 검토사항과 활용사례 등을 안내하고, 실무자 수요맞춤형 교육프로그램 등도 제공한다.

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가 지식문화정보 개방 확대도 정책과제로 추진한다. 국립중앙도서관을 비롯해 박물관·미술관 등 전국 문화예술기관 122곳의 이미지·영상 등 소장자료 26만여 건을 코리안메모리 프로젝트를 통해 디지털화했고, 올 하반기부터 제공할 예정이다. 저작권이 해결된 원문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AI 학습 과정에서 신뢰성과 다양성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국민이 놓치곤 했던 정부 혜택과 공공서비스를 선제적·맞춤형으로 제공한다. 민간 플랫폼 '웰로'를 통해 2600여개 기관의 청년정책정보를 한곳에서 확인하고 추천받거나 신청할 수 있게 한다. 'KB페이'와 연계해 지난달 서비스를 시범 개시한 데 이어 타 플랫폼으로도 확대하고, 통합 청년정책DB(데이터베이스) 구축도 추진한다. 실직·출산·이사 등 국민 개개인이 상황별로 이용 가능한 공공서비스를 알려주는 '혜택알리미'도 본격 제공한다. 청년수당·구직활동비 등 체감효과가 큰 서비스 500여개부터 시범운영하고 2026년까지 3200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종이 없는 행정 구현을 위해 원본요구법령에 대한 일괄정비를 추진한다. 법령상 원본은 관행적으로 종이문서로 해석됐는데, 원본 개념에 전자문서도 포함해 제출·보관 가능하도록 개선한다. 전수조사 결과, 원본 요구 법령은 총 161개로 확인됐다.

이중 개정실익이 없거나 전자문서 취급이 불가능한 경우를 제외하고 100여개 법령에 대한 개정안을 마련해 연내 국회제출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로써 정부는 종이문서 관련 비용 약 4500억원 절감도 기대한다.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장은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 발표 1주년을 맞이해 위원회는 관계부처와 함께 오늘 논의된 안건들을 포함해 손에 잡히는 혁신성과의 지속적인 발굴을 통해 민생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산업 성장에 보탬이 되는 디지털플랫폼정부 완성에 힘쓰겠다"고 밝혔다.팽동현기자 dhp@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