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정의 버리고 민주당과 야합했다가 몰락한 정의당
이번 총선에선 진보 정당인 정의당도 국민의 심판을 받았다. 녹색당과 연합한 녹색정의당은 지역구에 17명의 후보를 냈지만, 심상정 대표 등 전원이 낙선했다. 비례대표 투표에서도 2.14% 득표에 그쳐 단 한 석도 얻지 못했다. 6석을 가진 원내 3당에서 ‘0석’의 원외 정당으로 밀려난 것이다. 정의당 0석은 2012년 창당 이후 12년 만에 처음이고, 뿌리인 민주노동당의 2004년 10석까지 거슬러 가면 20년 만이다. 이번에 정의당은 지역구와 비례 득표의 평균이 1%대에 머물면서 정당 보조금도 한 푼 못 받게 됐다. 국민에게서 퇴출 명령을 받은 것이나 같다.
정의당 몰락은 자초한 것이다. 2019년 위선과 반칙이 드러난 조국 법무부 장관에 대해 처음엔 반대 입장이다가 찬성으로 돌변했다. 알고 보니 민주당이 원하는 공수처 신설과 정의당에 유리한 선거법을 맞바꾸는 야합을 한 것이었다. 누더기 선거제를 만들어놓고 심상정 대표는 ‘국민은 몰라도 된다’고 했다. 이에 청년층이 반발하자 병사 월급 인상으로 무마하려 했다. 정작 2020년 총선에선 비례용 위성정당을 만든 민주당 때문에 6석을 얻는 데 그쳤다.
정의당 대표는 2021년 같은 당 의원을 성추행한 사실이 드러나자 바로 사퇴했다. 그런데 정의당은 박원순 전 시장 성추문 때는 당 차원에서 박원순 조문을 강요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 ‘성추행 가해자 옹호당’이란 비판을 받았다. 노예나 다름없는 북한 주민의 인권에 침묵했다. 민주당의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강행 때도 처음엔 “동의하기 어렵다”며 반대했다가 정작 표결 때는 모두 찬성으로 돌변해 ‘민주당 2중대’ 노릇을 했다. 한때 소수 목소리를 대변한다며 적지 않은 지지를 받기도 했던 정의당이 정의를 버렸으니 몰락은 필연적이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제29회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타협을 거부
- [TV조선] 삼성 이병철과 현대 정주영
- [우리 아이 이름으로 초록우산에 기부했어요] 강선규 아동 외
- [알립니다] 우리 아이 출생 소식 액자에 담아 간직하세요
- [고수 아빠의 육아 비결] 실·종이로 데칼코마니 놀이… 알록달록 무늬 만들어보세요
- “임신한 직원은 택시로 출퇴근하세요”… 회사와 ‘공동 육아’ 합니다
- 서울시 금융경쟁력 3년 연속 세계 10위
- 시드니 하버브리지처럼, 남해대교 주탑 걸어서 오른다
- 벌써 85만그루… 안동·봉화까지 소나무재선충 비상
- NBA 명문 보스턴 셀틱스, 약 9조원에 새 주인 찾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