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릿고개 넘은 가상자산 거래소들 '빈익빈부익부' 심화

한지훈 2024. 4. 15. 06: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지난해 일제히 부진한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국내 5대 가상자산 거래소 운영사(두나무·빗썸코리아·코인원·코빗·스트리미)의 지난해 영업수익(매출)은 총 1조1천785억원으로 전년보다 26.8% 줄었다.

올해 비트코인 가격이 뛰면서 모처럼 거래가 활발해진 상황에도 거래소 간 빈익빈 부익부는 쉽게 해소되지 않을 것이라는 게 지배적인 전망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대 거래소 실적 전반 둔화 속 두나무 순익 급증
업비트·빗썸 점유율 95% 웃돌아…고팍스 등 적자 지속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한지훈 기자 =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지난해 일제히 부진한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자산 투자 심리 위축으로 이른바 '크립토 윈터'를 통과하면서 거래량이 줄고 수수료 매출이 크게 감소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1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국내 5대 가상자산 거래소 운영사(두나무·빗썸코리아·코인원·코빗·스트리미)의 지난해 영업수익(매출)은 총 1조1천785억원으로 전년보다 26.8% 줄었다.

영업이익도 5천586억원으로, 전년보다 33.5% 감소했다.

회사별로 보면 '양극화'가 뚜렷해졌다.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는 영업수익이 1조154억원으로 18.7%, 영업이익이 6천409억원으로 20.9% 각각 감소했지만, 당기순이익이 8천50억원으로 515.4% 급증했다.

회사 관계자는 순이익 변동에 대해 "회사가 보유한 디지털 자산 가격이 상승하면서 평가금액도 오른 것이 주된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두나무가 지난해 말 무형자산으로 보유한 비트코인은 1만6천50개로, 전년보다 31.5% 증가했다. 평가 금액도 2천582억원에서 9천133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빗썸코리아는 영업수익이 1천358억원으로 57.6% 감소했고, 149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해 적자로 전환했다. 순이익은 243억원으로 74.5% 줄었다.

코인원 역시 영업수익이 225억원으로 35.7% 줄고, 영업손실이 234억원으로 11.6% 확대됐다. 순손실은 67억원으로 46.1% 감소했지만, 손실을 면치 못했다.

코빗의 경우 영업수익이 17억원으로 60.9% 급감한 가운데 269억원의 영업손실과 142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고팍스를 운영하는 스트리미 역시 영업수익이 31억원으로 96.9% 늘었지만, 169억원의 영업손실과 514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올해 비트코인 가격이 뛰면서 모처럼 거래가 활발해진 상황에도 거래소 간 빈익빈 부익부는 쉽게 해소되지 않을 것이라는 게 지배적인 전망이다.

이는 회사별 시장 점유율과도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거래가 늘면 애초 점유율이 높은 거래소가 더 큰 수익을 남길 수밖에 없는 구조기 때문이다.

전날 오후 코인마켓캡 기준 24시간 거래량을 바탕으로 추산한 각 사 점유율은 업비트가 74%, 빗썸이 22%, 코인원이 3% 수준이었다. 코빗과 고팍스는 각 1%에 미치지 못했다.

고객이 위탁한 비트코인 수량을 비교하더라도 지난해 말 기준 업비트가 13만9천887개, 빗썸이 3만6천337개, 코인원이 8천74개 등으로 격차가 컸다.

hanjh@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