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암리 주민들 잔인하게 학살"…3·1운동 보복, 일제의 끔찍한 만행[뉴스속오늘]

채태병 기자 2024. 4. 15. 05: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뉴스를 통해 우리를 웃고 울렸던 어제의 오늘을 다시 만나봅니다.

105년 전인 1919년 4월 15일, 일제는 3·1 운동에 대한 보복으로 경기 수원군 향남면(현 화성시 향남읍) 제암리에서 민간인 20여명을 학살하는 끔찍한 만행을 저질렀다.

언더우드와 스코필드 등 선교사들의 현장 방문 및 조사, 일제의 폭력에 굴복하지 않은 생존자 증언 등이 없었다면 제암리 학살 사건은 후대에 전해지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편집자주] 뉴스를 통해 우리를 웃고 울렸던 어제의 오늘을 다시 만나봅니다.

1919년 4월15일 경기 수원군 향남면(현 화성시 향남읍) 제암리에서 벌어진 학살 사건을 조사 중인 미국인 선교사의 모습. 당시 일제는 3·1 운동에 대한 보복으로 제암리 민간인 20여명을 학살했다. /사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05년 전인 1919년 4월 15일, 일제는 3·1 운동에 대한 보복으로 경기 수원군 향남면(현 화성시 향남읍) 제암리에서 민간인 20여명을 학살하는 끔찍한 만행을 저질렀다.

당시 화성 지역 주민들은 3월 말부터 4월 초까지 송산면, 장안면, 우정면 등에서 만세 시위로 독립운동을 벌였다. 기록에 따르면 이 만세 행군에는 1000명이 넘는 시민이 함께했다. 시위대는 일제 무단 통치의 상징이었던 면사무소와 주재소를 파괴하는 등 격렬한 항쟁을 벌였다.

지역에서 유례없는 항쟁이 발발하자 일제는 보복에 나섰다. 시위대가 모임을 해산한 뒤 일상으로 돌아간 틈을 노렸다. 일본군은 향남면 제암리 교회에 민간인 20여명을 가둔 뒤 학살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팔탄면 고주리로 이동해 일가족 6명을 만세 시위의 주동자로 몰아 사살했다.

1919년 4월15일 일본군이 경기 수원군 향남면(현 화성시 향남읍) 제암리에서 민간인을 학살한 뒤 민가를 불태운 모습. 당시 일제는 3·1 운동에 대한 보복으로 제암리 민간인 20여명을 학살했다. /사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사료에는 학살 사건 당시 일제가 제암리 교회에 가둔 인물들이 기독교, 천도교 신자였다고 적혔다. 일제는 교회에서 이들을 총칼로 잔인하게 살해했고, 교회까지 불태웠다. 인근에 있는 30여채의 민가도 일본군에 의해 모두 잿더미가 됐다.

제암리 학살 사건을 세계에 알린 건 미국인 선교사 언더우드(Underwood H. H.)와 미국 영사관 직원들이었다. 이들은 참변 다음날(1919년 4월 16일) 소식을 듣고 서울에서 제암리로 출발했다. 언더우드 일행은 현장에 도착해 싸늘한 주검이 된 주민들과 불에 탄 집터 등을 목격했다.

언더우드 일행은 현장에 있던 생존자들을 인터뷰해 참상을 확인했다. 이후 영국인 선교사 스코필드(Schofield F. W.)도 현장에 합류했다. 이들은 비극적인 제암리 모습을 사진으로 남겼고, 생존자 증언 등을 담은 보고서를 작성해 미국으로 보냈다.

1919년 4월15일 일본군이 경기 수원군 향남면(현 화성시 향남읍) 제암리에서 민간인을 학살한 뒤 교회를 불태운 모습. 당시 일제는 3·1 운동에 대한 보복으로 제암리 민간인 20여명을 학살했다. /사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후 제암리 학살 사건은 여러 언론에 보도됐다. 결국 일본 개신교 단체인 일본기독교동맹은 뒤늦게 대표단을 제암리로 보내 사건 조사를 실시, 일본군의 만행을 폭로하며 반성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 사건이 국제적인 이슈가 되면서 1919년 7월 학살 현장을 지휘했던 일본의 아리다 중위가 군법회의에 넘겨졌다. 하지만 그는 무죄 판결을 받았다.

2007년 2월에는 제암리 학살 사건을 일제가 은폐·축소하려고 했다는 내용이 담긴 일기가 '아사히 신문'을 통해 공개되기도 했다. 이 일기는 사건 당시 일제의 조선군사령관이었던 우쓰노미야 다로(1861~1922)가 쓴 것이었다.

아사히 신문에 따르면 우쓰노미야는 1919년 작성한 일기에서 "사실을 사실로 처리하면 간단하지만, 학살과 방화를 자인하게 돼 (일본) 제국에 불이익이 올 것"이라고 적었다. 그러면서 "간부와 협의해 (민간인들이) 저항해서 살육한 것으로 하고, 학살과 방화 등은 인정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썼다.

언더우드와 스코필드 등 선교사들의 현장 방문 및 조사, 일제의 폭력에 굴복하지 않은 생존자 증언 등이 없었다면 제암리 학살 사건은 후대에 전해지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경기 화성시는 매년 희생자 추모제 등을 개최해 제암리 학살 사건의 아픔을 기리고 있다.

2019년 4월15일 '4·15 100주년 화성 제암·고주리 학살사건 희생자 추모제'에서 서철모 당시 화성시장이 발언하는 모습. /2019.04.15. /사진=뉴시스


채태병 기자 ctb@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