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삼식칼럼] 초저출생과 흔들리는 백년대계
교육 질 저하에 지방소멸 가속
백년 내다보는 체질 개선 시급
정부·교육계 등 협력 필요한 때
작년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전 세계가 주목할 만큼 매우 낮다. 초저출생의 효과는 교육 부문에서 가장 먼저 나타난다. 작년 한 해에 태어난 23만명이 성장하여 학교에 다닐 때 학생 수는 큰 폭으로 줄어들 것이다. 초등학교 입학 시에는 작년 입학생 수의 57%, 중학교 입학 시에는 50.8%, 고등학교 입학 시에는 48.9%로 각각 절반 수준으로 감소할 것이다. 전문대 및 대학교 입학 시에는 최근 대학진학률을 적용하더라도 작년 신입생의 3분의 1(33.6%) 수준으로 감소할 것이다.
저출생 현상에 따른 교육문제는 출생률 회복을 통해 해소될 수 있다. 그러나 출생률 회복을 확신할 수 없고, 가능하더라도 상당 시간이 소요될 것이다. 따라서 출생률 회복과 더불어 저출생 시대에 맞는 교육제도 개편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일제강점기부터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 대학교 4년의 학제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전 세계에서 이러한 학제를 채택한 국가는 많지 않다. 저출생에 따른 학생 감소 시대에는 외국에서와 같이 8(초등)-4(중등)-4(대학)나 7-5-4 등으로 개편하여 소수의 학생들을 집중시켜 효과적으로 교육할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이미 초·중·고교를 통합 운영하고 있는 학교들도 울타리만 철거하는 형식적인 물리적 통합이 아니라, 교장, 교감 및 교사를 공유하는 화학적 통합체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학생 감소 시대에 모든 대학이 종합대학 체제를 유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지역 특성을 고려한 단과대학 중심의 특성화대학으로의 전환을 통해 모든 지역에서 균형 있게 대학들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교육은 흔히 백년대계라고 한다. 그러나 저출생의 영향으로 교육의 근간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초저출생 현상을 극복하여 다시 학교에 학생들이 채워지도록 해야 한다. 이는 단순히 교육 문제를 해결하는 차원을 넘어, 국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인적자원 확보라는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와 동시에 학생 수 감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백년을 내다보는 교육체질 개선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 저출산 시대의 교육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하고, 미래 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우리 사회의 중요한 과제이다. 정부와 교육계, 그리고 사회 각계각층의 협력이 필요하다.
이삼식 한양대 고령사회연구원장·인구보건복지협회장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윗집男 칼부림에 1살 지능된 아내”…현장 떠난 경찰은 “내가 찔렸어야 했나” [사건 속으로]
- “효림아, 집 줄테니까 힘들면 이혼해”…김수미 며느리 사랑 ‘먹먹’
- “이 나이에 부끄럽지만” 중년 배우, 언론에 편지…내용 보니 ‘뭉클’
- “39만원으로 결혼해요”…건배는 콜라·식사는 햄버거?
- “송지은이 간병인이냐”…박위 동생 “형수가 ○○해줬다” 축사에 갑론을박
- “식대 8만원이래서 축의금 10만원 냈는데 뭐가 잘못됐나요?” [일상톡톡 플러스]
- “북한과 전쟁 나면 참전하겠습니까?”…국민 대답은? [수민이가 궁금해요]
- “홍기야, 제발 가만 있어”…성매매 의혹 최민환 옹호에 팬들 ‘원성’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